[사설] 이게 무슨 ‘공천혁명’인가
입력 2012-02-29 18:06
민주통합당이 ‘선거혁명’이라고 자랑해온 국민경선이 휘청거리고 있다. 모바일 투표를 처음 도입했으나, 선거인단 모집과정에 부정 또는 불법이 자행되고 있다는 의혹이 호남지역을 넘어 수도권으로 확산돼 민주당을 되레 압박하는 형국이다. 광주광역시 동구에서 60대 전직 동장의 투신자살 사건이 발생한 것을 계기로 광주광역시 북구, 전남 함평, 전북 김제와 완주, 그리고 경기 양주와 광명 등 곳곳에서 부정이 저질러졌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20일부터 시작된 선거인단 신청은 어제 마감됐지만, 불법선거 논란 지역은 더 늘어날 개연성이 크다.
유권자들에게 공천권을 돌려주겠다는 국민경선의 취지는 나쁘지 않다. 돈 안 드는 선거문화 정착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선거인단의 현장 투표와 모바일 투표로 경선을 치르겠다는 발표가 나오자마자 예비후보들 사이에 선거인단 모집 경쟁이 불붙었다. 누가 더 많은 선거인단을 확보하느냐에 따라 경선에서의 승패가 좌우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특히 경선에서 이기기만 하면 본선에서의 승리는 따 놓은 당상으로 여겨지는 곳에서 경선 이전 단계부터 돈과 조직, 관권을 총동원하는 예비후보들이 속출하고 있다. 이런 타락상으로 ‘선거혁명’이란 표현이 무색해졌다.
지역 특성을 감안하지 않은 채 일률적으로 국민경선을 밀어붙이다 암초를 만난 민주당 지도부는 뒤늦게 법석이다. 투신자살 사건이 일어난 광주광역시 동구를 전략공천지역으로 선정했고, 불법 의혹 조사 대상지를 넓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한다. 불법·탈법 행위를 하면 후보자 자격을 박탈할 것이며, 상응한 책임도 묻겠다고 했다. 말에 그쳐선 안 된다. 철저한 조사를 통해 일벌백계하는 모습을 실제로 보여줘야 한다. 자체 조사가 어렵다면 검·경에 수사를 의뢰해야 한다.
지금 국민경선을 철회하기는 힘들 것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이번에 드러난 문제점들을 면밀히 분석해 조속한 시일내에 보완책을 내놓아야 한다. 대선 후보도 국민경선으로 뽑겠다는 게 민주당 입장이어서 더욱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