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즉흥적 개입이 혼란 키워”… 독립검증委 조사 결과
입력 2012-02-28 19:31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사고 당시 총리의 강한 자기주장과 개입이 혼란을 키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8일 외신에 따르면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를 조사해온 ‘후쿠시마 원전사고 독립검증위원회(이하 원전사고검증위)’는 조사 결과에서 사고 당시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 등 총리실의 초동 대응을 “불필요한 혼란을 야기해 상황 악화의 위험을 높였다”고 지적했다. 원전사고검증위는 총리실의 위기대응이 즉흥적이었다면서 사고 확대 방지에 거의 기여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과학자와 법조계 인사 등 전문가 6명으로 구성된 원전사고검증위의 보고서에 의하면 상부의 지시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은 경우도 많아 위기관리 능력이 취약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고 당시 총리실은 원자로 격납용기의 압력을 낮추기 위해 방사선 물질이 포함된 증기를 밖으로 배출하는 밴틸레이션을 지시했으나, 도쿄전력은 주민의 피난과 전원 상실 등을 이유로 이를 지체했다. 또 대지진 다음날인 3월 12일 오후 간 총리와 도쿄전력은 원자로에서 핵분열이 연쇄적으로 일어날 가능성을 들어 사고 원전 1호기의 냉각용 바닷물 주입을 재검토하도록 지시했지만 요시다 마사오(吉田昌郞) 현장소장은 거부했다. 결과적으로 요시다 소장의 판단이 타당했지만 총리실과 도쿄전력 본점의 지시에 반한 것은 위기관리상의 중대한 리스크를 포함하는 문제라고 원전사고검증위는 지적했다.
원전사고검증위는 간 총리에 대해 “강하게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는 원자력안전위원장이나 각료 등의 반론을 주저하게 한 측면이 있다”고 주장했다.
정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