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들 경영난 ‘허덕’… 80%가 영업손실·20%는 당기순손실 “지원대책 시급”
입력 2012-02-28 19:03
올해로 사회적기업육성법 시행 5년째를 맞는 가운데 사회적기업은 양적인 급성장에 비해 질적으로는 적잖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경영지표 상으로만 보면 낙제점 수준이다. 2010년 말 현재 사회적기업 10곳 중 8곳은 영업손실 상태, 5곳 중 1곳은 당기순손실 상태인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곽선화 부산대 교수의 미발표 연구자료에 따르면 2010년 말 현재 활동 중인 사회적기업 491곳 중 영업손실기업은 412곳(83.9%), 당기순손실기업은 94곳(19.1%)으로 나타났다. 영업손실기업비율은 전년보다 악화됐다.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 따르면 2009년 말 현재 사회적기업 287곳 중 214곳(74.6%)이 영업손실 상태, 당기순손실기업은 286곳 중 95곳(33.2%)이었다.
영업실적 악화 원인에 대해 곽 교수는 “기존 사회적기업의 영업실적이 악화된 것이라기보다 재정상태가 영세한 사회적기업의 인증이 늘고 있다”며 인증시스템 문제와 함께 사회·경제적 요인을 꼽았다. 사회적 요인은 사회적기업의 특성상 더 높은 경제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취약계층 수혜가 늘어날수록 수입손실이 커지는 구조적 문제를 뜻한다. 경제적 요인은 사회적기업 대부분이 자본금 5000만원 이하로 열악한 재정인프라 탓에 사업의 성장·확장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사회적기업을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 경영지표만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고 주장한다. 사회적기업의 존재목적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일 뿐 아니라 경제적 가치는 정량화가 가능한 반면 사회적 가치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사회적기업도 기업이기 때문에 수익요인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이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사회적기업의 노동생산성이 매년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다. 2008∼2010년 사회적기업 근로자 1인당 매출액 평균은 ‘1612만→2112만→2800만원’으로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사회적기업들이 재정지원일자리를 자체고용으로 전환하는 고용유지율도 같은 기간 ‘32.8%→47.1%→73.3%’를 기록했다.
곽 교수는 “사회적기업의 초기 성장률은 높지 않으나 3년 정도 지나면서부터 본궤도에 오르는 점을 감안하면 좀 더 인내를 가지고 지켜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0년 말 현재 활동 중인 사회적기업 491곳 중 출범 3년 이상인 곳은 절반 정도다. 이에 그는 “이윤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의 목적성을 감안할 때 사회적기업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조용래 기자 choy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