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한 “정부 골목상권 보호, 역사 심판 받을 것”… ‘상생 역행’ 발언에 지역 상인들 거세게 반발

입력 2012-02-28 22:51

이승한(사진) 홈플러스 회장이 정부의 골목상권 규제에 대해 “사회주의 공산주의에도 없는 정책”이라고 말한 데 대해 비난이 일고 있다.

기업형슈퍼마켓(SSM)을 무차별 확장하면서 곳곳에서 지역상인들과 충돌하고 있는 홈플러스가 정부 정책에 일종의 색깔론까지 제기하며 반발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 회장은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정부의 대형마트·SSM 규제와 관련, “서민들이 싼 것을 사먹지 못하게 하는 반 서민 정책으로 역사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거칠게 비난했다.

이에 대해 전국상인연합회 석종훈 부회장은 28일 “이명박 대통령도 ‘흉년이 들면 땅을 사지 않는다’는 경주 최부자의 가훈을 들며 대기업의 사업확장을 비판할 정도인데 영세 상인들을 길거리로 나앉게 하는 주역인 홈플러스 회장이 어떻게 그런 말을 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그는 홈플러스가 SSM 무차별 확장과 편법 출점 등으로 골목상인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공적이라고 지적했다.

홈플러스의 SSM인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전국 점포수가 257곳으로 SSM 업계 2위다. 2000년대 중반 SSM사업에 뛰어든 후발주자인 홈플러스는 무차별 점포 확장을 하면서 서울 상계동, 울산, 진해, 김해 등 출점하는 곳마다 지역상인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외국계가 대주주인 홈플러스는 기존 상인들의 전세금 외에 권리금을 인정해주지 않고 소송까지 불사하며 반강제로 밀어내는 방식으로 출점을 해왔다”며 “국민정서를 모르는 홈플러스는 업계의 골치”라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영국 테스코가 94.68% 지분을 소유한 순수 외국계 유통체인이다.

홈플러스는 SSM규제가 강화되자 지난해 ‘365플러스’란 브랜드로 편의점 사업에도 진출해 현재 대치점 등 3개 점포가 영업 중이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