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란’ 피한 어린이집 2월 29일이 고비… 서울 등 수도권 휴업 거의 없고 참여해도 부분태업 많아

입력 2012-02-27 19:15

민간어린이집의 집단 휴원이 예고된 27일에는 실제로 문을 닫은 곳이 거의 없어 우려했던 ‘어린이집 대란’은 피했다. 하지만 서울을 비롯한 경기도 수원 등 일부 지역에서 당직교사만 근무하는 부분 태업이 강행됐고, 29일에 대규모 집단휴업이 다시 예고돼 맞벌이 부부 등이 전전긍긍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7일 서울, 인천, 경기지역 민간 어린이집 796곳에 직접 전화를 걸어 확인한 결과 94.3%가 아이들을 받았다고 밝혔다. 정상적으로 운영하는 어린이집이 649곳(81.5%), 당직교사를 배치한 어린이집이 102곳(12.8%)였다. 대전, 광주, 충남, 충북, 전북, 제주도 지역은 동참하지 않았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휴원 사례가 속출했다. 경기도 수원에서는 민간 어린이집 1100여 곳 중 850여 곳이 집단 휴원에 들어갔다. 나머지는 29일까지 유보한 상태다. 경남도내 민간분과위에 소속된 민간어린이집 1080곳도 집단 휴원에 동참했다.

특히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는 오는 29일 당직교사까지 근무하지 않는 완전 휴업을 경고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29일에는 전국 어린이집이 모두 당직교사 없이 휴원키로 했다”고 말했다. 부산시와 부산시교육청이 부산지역 민간 어린이집 840곳을 조사한 결과 29일에 100여곳이 집단 휴원에 들어갈 예정인 것으로 파악됐다. 복지부 관계자는 “서울시 15개구 어린이집 등이 27∼28일 정상운영하는 대신 29일에 집단 휴원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태업을 시작한 어린이집에서는 차량운행이 제대로 되지 않아 학부모가 직접 아이를 데려다 줘야 하거나 당직 교사만으로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없어 수업시간을 줄여야 했다. 서울 월계동에 사는 박정현(37)씨는 6세인 아들을 맡길 곳을 찾아 부산을 떨어야 했다. 박씨는 “사태가 길어지면 정말 불편이 커질 것 같다”고 말했다.

인터넷 포털사이트 게시판에서는 정부의 안일한 대응과 일부 어린이집의 막무가내식 행태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이어졌다. 한 네티즌은 “아이들을 인질로 삼는 것은 상식 이하”라고 따졌고, 한 트위터 사용자는 “정부와 어린이집 갈등에 아이 맡길 곳이 없는 애꿎은 맞벌이 부부의 걱정만 늘어가고 있다”는 글을 올렸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