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연이은 유혈진압속 개헌 국민투표 강행

입력 2012-02-26 20:10

시리아 정부가 26일(현지시간) 헌법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를 강행했다.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은 국제사회가 촉구하는 유혈진압을 멈추지 않은 채, 다당제 허용 등을 골자로 한 헌법 개정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반정부 세력은 국민투표가 아사드 대통령의 정권 연장 계략에 불과하다며 투표거부 운동을 벌이고 있어, 투표가 끝나더라도 유혈사태가 끝나지는 않을 것이 확실하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아사드 정권이 국민투표와 유혈진압을 병행하는 가운데 미국과 아랍 국가 등 국제 사회는 본격적으로 아사드 정권 붕괴 이후를 대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지난 주말 튀니지에서 가진 미국과 유럽 및 아랍 국가들의 회담에서는 아사드 정권 붕괴 이후 민간 분야의 평화유지 임무에 관한 논의를 시작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공개적으로 “이제 아사드 정권을 바꿀 때가 됐다”고 말했고,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도 독재 정권이 교체된 튀니지 이집트처럼 시리아도 “그렇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리아 정권 붕괴 이후 안정화 방안과 관련 미국 국방부가 ‘시리아 안전지대’ 설치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범아랍권 신문인 앗 샤르크 알 아우사트는 미 국방부 관리의 말을 인용 “펜타곤이 안전지대 설치를 골자로 한 시리아 개입 시나리오 마련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이 조치는 시리아 내의 대규모 난민들을 돕기 위해 시리아와 터키 국경에 안전지대를 설치하고, 적신월사(이슬람국가의 적십자사)가 긴급 구호활동을 시작하면,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구호팀이 도착해 이들을 돕는 것이다. 시리아 영공에 비행금지구역도 설치된다.

이와 함께 미국은 시리아가 보유 중인 대량살상무기(WMD)의 확산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서는 등 ‘포스트 아사드’ 체제를 준비 중이라고 외교전문매체 포린폴리시가 분석했다. 이 잡지는 국무부가 최근 이라크, 요르단,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등 시리아 주변국에 WMD 확산 가능성을 제기하며 협조를 요청했다고 전했다.

국무부는 주변국들에 시리아의 탄도미사일 탑재가 가능한 화학무기 프로그램 개발 및 WMD 확산과 이로 인한 역내 안보위협을 우려하면서 시리아 주변국에 대한 미국의 보안협력 약속 등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김명호 특파원 m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