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신세계-중소 아웃렛 갈등 매듭… 신세계, 상인들과 중복브랜드 41개 이하로 낮추기로

입력 2012-02-24 18:30

경기도 파주 지역 프리미엄 아웃렛 진출을 둘러싼 신세계첼시와 중소 아웃렛간의 갈등이 마무리됐다.

24일 중소기업청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세계첼시는 일산 덕이동 내 중소 아웃렛 상인들과 중복 브랜드를 41개 이하로 낮추고 노후시설 개보수 비용으로 7억원을 지원하기로 지난해 말 합의했다. 또 상생협의회를 구성해 상시 운영하기로 했다.

신세계첼시는 지난해 3월 경기도 파주시에 프리미엄 아웃렛 매장을 열었으나 고양시와 파주시 일대 중소 아웃렛 상인들이 반발해 마찰을 빚어왔다. 신세계첼시는 165개 매장을 운영 중인데 지난해 개장 나흘 만에 25만여명이 방문하는 등 인기를 끌었다. 이곳에서 10㎞ 정도 떨어진 덕이동 아웃렛의 경우 220여개의 중소 상인 점포가 밀집돼 있다.

중기청은 개장에 앞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해 신세계첼시에 일시정지 권고를 내렸지만 신세계첼시는 개장을 강행했다. 중기청은 4월 ‘미이행 사실 공표’를 하고 강제조정 절차에 착수했다.

사업조정 권고의 경우 강제조정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공포 절차와 이행명령, 형사고발 등이 이어진다.

신세계첼시는 이후 중소 아웃렛 상인들과 20여 차례 회의를 열고 합의안을 도출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사업조정 대상이 아니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지만 지역 상인들과의 상생차원에서 합의를 이루기 위해 노력했다”며 “구체적 지원금액이나 합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지난해 12월 파주시 문발동에 프리미엄 아웃렛점을 연 롯데는 개장 전인 지난해 8월 인근 ‘자루 아웃렛’ 등을 운영하는 고양·파주지역 아웃렛연합회 상인들과 합의를 했다. 중복 브랜드를 39개 이하로 낮추고 노후시설 개보수 등을 위해 중소 아웃렛에 10억원의 발전기금을 내기로 했다. 3년간 상생협의체를 상시 운영한다는데도 합의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기업들의 골목상권 침해에 대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만 일부 업체들은 중소기업과 상생전략을 통해 ‘윈윈’하는 해법을 찾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