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화성·오산 통합논의 본격화

입력 2012-02-23 18:35


경기도 수원·화성·오산 등 수원권 3개 자치단체가 통합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작업을 본격화했다.

염태영 수원시장, 채인석 화성시장, 곽상욱 오산시장은 23일 오전 경기도의회 회의실에서 수원권 3개 자치단체의 행정구역 조정에 대한 연구용역을 한국행정학회에 공동 발주하는 내용의 협약을 맺었다.

이와 함께 이들 단체장은 연구용역의 공정성과 객관성, 중립성을 확보하고 연구결과를 토대로 권역별 토론회를 주관할 ‘오산·수원·화성 상생협력위원회’ 설치를 합의했다. 이 위원회는 각 단체장이 추천한 이규환 중앙대 교수, 김홍식 아주대 교수, 김성종 단국대 교수 등 3명과 채수일 한신대 총장 등 종교계 인사 3명 등 6명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출범 선언문을 통해 “오산 수원 화성은 역사적으로 한 우물을 나눠 온 지역공동체인 동시에 정조대왕의 애민사상과 개혁사상의 정신을 이어받아 후손들에게 살기 좋은 도시를 물려줘야 할 역사적 책무가 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용역결과를 토대로 9월부터 권역별 토론회를 열어 3개 시의 통합에 대한 주민의견을 수렴하게 된다. 3개 시는 연구결과가 도출되는 8월 말까지 통합과 관련한 자치단체별 주장을 자제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수원권 3개 시가 통합될 경우 인구 200만명, 재정규모 3조원, 면적 1000㎢, 지역내 총생산 40조원의 전국 5대 도시가 된다.

염 시장은 이날 협약식에서 “주민에게 이익이 되고 지역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해 통합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 시장은 “주민들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이해와 판단을 도울 수 있는 통합논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채 시장은 “시민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해 3개 시가 상생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수원권 3개 시는 통합논의와는 별개로 교통·교육·경제·문화 등 다방면에 걸쳐 협력하기로 했다. 첫 사업으로 수원시가 화성과 오산 시민에게 수원연화장 사용료를 50% 감면했다. 오산과 화성은 개별운영 중인 하수종말처리장과 소각장을 교차사용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

수원=김칠호 기자 seven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