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이란 원유 수입감축 협의… 중·인도 10%↓·日 11% 감축안 타결단계, 한국 감축폭에 미칠 영향은
입력 2012-02-22 18:29
미국의 이란 제재 동참요구에 반발해온 중국과 인도가 이란 원유 수입을 최소한 10% 줄일 계획이어서 주목된다. 특히 일본의 11%가량 감축안이 미국과의 협상에서 타결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22일 한·미 간 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을 끌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21일 베이징과 뉴델리발로 중국과 인도가 이란 원유 수입을 최소한 10% 줄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인도 정부는 자국 정유업계에 이란 원유 수입을 최소한 10% 줄이도록 압박하고 있다. 중국 석유업계 고위 인사도 중국 최대 정유사 시노펙의 거래 창구인 유니펙이 올해분 이란 원유 수입량을 10∼20% 감축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중국이 올 1분기 이미 이란 원유 수입을 크게 줄이고 있으며 올해 전체 계약을 놓고도 테헤란 측과 밀고 당겨왔다고 지적했다.
로이터는 일본이 이란 원유 수입을 11%가량 줄이는 대신 미국이 일본을 이란 관련 금융 제재 대상에서 예외로 하는 협상이 타결 단계인 것으로 요미우리신문이 보도한 점을 상기시켰다.
중국, 인도, 일본 등 3개국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2위 산유국인 이란이 수출하는 원유의 45%가량을 사들여왔다.
따라서 유럽연합(EU)이 예정대로 오는 7월부터 이란 원유 수입을 전면 중단하면 이란의 원유 수출에 적지 않은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로이터는 분석했다.
이란은 영국과 프랑스에 대한 석유 수출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했으나 이들 두 나라가 이미 이란 원유 수입을 상당 부분 줄였기 때문에 상징적 응징에 불과하다.
버락 오바마 미 행정부 고위 관리는 “많은 나라가 이란 석유 제재와 관련한 예외 적용 협상을 요청하고 있다”면서 “특정국 상황에 따라 협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이백순 외교통상부 북미국장이 이끄는 정부 대표단이 22일 워싱턴에서 로버트 아인혼 미 국무부 대북-대이란 제재 조정관과 만나 이란 원유 수입 감축 문제를 협의하는 상황에서 나왔다.
정부 소식통은 “구체적인 감축 폭까지 이번에 합의될지는 불투명하지만 큰 로드맵은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부는 핵개발 의혹을 받고 있는 이란을 제재하기 위한 미국의 국방수권법 이행에 동참하는 차원에서 단계적으로 이란산 원유 수입을 감축한다는 방침을 미국 측에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 한국의 이란산 원유 수입을 감축하게 되더라도 미국 행정부의 구체적인 국방수권법 이행결정이 내려지는 3월 30일 이후에 감축조치가 실행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