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합격 1명 늘 때마다 강남3구 전세 197만원 올라

입력 2012-02-21 19:11

서울대학교 진학자 숫자와 주차장 등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전셋값을 쥐락펴락하는 ‘파워변수’로 작용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원 소속 윤병우 연구원은 21일 발표한 ‘교육환경과 아파트 전세가격 간의 관계 분석’이라는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는 2008∼2010년 강남3구 아파트(주택형 3개 이상) 단지 1225개를 대상으로 전세가격과 각종 변수들 간 상관관계를 조사한 내용으로 아파트 주변 고교에서 서울대 합격생이 1명 늘어날 때마다 전세가격은 197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학교 전입률이 1% 늘어날 때, 대학진학률이 1% 오를 때마다 전세가격은 각각 90만원과 86만원이 올랐다. 보습학원이 1개 늘어날 때 전세 상승폭은 8만원에 그쳐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미미했다.

생활편의변수 중에서는 주차공간의 영향력이 가장 강했다.

단지 내 평균 주차가능대수가 1대 늘어날 때마다 전세가는 1억488만원 급등했다. 또 욕실이 1개 늘어나면 8669만원, 방이 하나 늘면 7901만원을 추가로 지불해야 했다. 중앙·지역난방 아파트는 개별난방보다 4604만원 더 비쌌다.

반면 입주연도에서 1년이 지날 때마다 전세가격은 247만원 떨어졌고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과 중학교에서 1m씩 멀어질 때마다 각각 6만원과 5만원씩 하락했다.

논문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강남3구 전세가격은 최저 4400만원에서 최고 23억2500만원까지 편차가 컸다. 평균 방 개수는 3.2개, 욕실은 1.67개였고 가구당 차량 1.5대 주차가 가능했다. 아파트의 평균 노후도는 13년이었다.

한편 MB정부 4년간의 부동산 정책이 100점 만점에 39점이라는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특히 ‘부자감세’로 논란이 됐던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폐지 등에 대한 불만이 높았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MB정부 부동산정책 평가’를 주제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부동산 정책 평가점수가 100점 만점에 평균 39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신종수 기자 js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