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장 합동 GMS 고소·고발 사태 해법 찾는다

입력 2012-02-20 18:37


이사회와 일부 선교사 간 마찰을 빚고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총회 세계선교회(GMS)가 오는 23일 열리는 ‘GMS 발전을 위한 대토론회’를 통해 합의점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GMS는 총신대와 기독신문, 총회 임원회와 함께 예장 합동의 정치를 이끄는 중요 ‘포스트’ 가운데 하나다. 100개 국가에 2151명의 선교사를 파송한 국내 최대의 선교기구로 1년 국내 경상비만해도 25억, 해외 선교 후원금은 300억원이 넘는다.

사태의 발단은 지난해 7월, GMS 임원회가 선교사 안식년 여행기금을 담보로 10억원을 대출받아 미국 연락사무소용 주택을 구입하면서 불거졌다. 다수 선교사들은 재정 전용 의혹을 제기하며 구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으며, 임원들은 규정상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결국 지난해 9월 이사회에서 원상복구 결정을 내렸으나 이 문제를 제기했던 강대흥 사무총장에 대해 선교사 면직, 사무총장 사직 결정이 내려진다. 이에 반발한 일부 선교사들이 GMS 임원을 형사고발했고 이후 민·형사 소송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 사건의 본질은 ‘GMS 운영 주체를 교단이 할 것이나 아니면 선교사로 할 것이냐’하는 문제에 있다. 타 선교단체와 달리 교단 파송 15인 이사회에 따라 ‘교단’과 ‘선교지’가 연결되는 운영구조에 대한 충돌인 셈이다.

이사회측은 “강 선교사가 미주 연락사무소 구입을 위한 5인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감정사를 추천했고 이것이 성사되지 않자 이 사실을 외부에 유포시키는 이율배반적인 행동을 했다”면서 “특히 세계선교대회 비협조나 부당한 재정지출, 선교사 관리소홀 등의 이유로 강 선교사 직무를 정지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사회측은 “자신을 파송한 목회자를 검찰에 고소하는 선교사가 세상에 어디에 있나. 모든 재정은 이사회 회의를 거쳐 투명하게 지출됐기에 일체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이 사건은 특정인이 GMS를 장악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됐으며, 자신들만의 선교단체를 만들어가기 위한 의도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반면 일부 선교사들은 이번에 선교 필드 중심의 선교부로 GMS가 개혁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선교사들은 “선교사들은 특별조사처리위원회가 선교사를 면직한 것은 절차상 내용상 문제가 있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힘들다”면서 “GMS 정관과 운영규칙상 임원들에게 입법 사법 행정 감찰권까지 모두 갖고 있어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선교사들은 “선교사 면직을 감행한 이사회와 특별조사처리위원회는 불법적이고 폭압적이기 때문에 앞으로 관련자 퇴진과 GMS 바로세우기 운동을 펼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백상현 기자 100s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