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형 주중대사 “한-중 관계, 어느 정도 긴장은 불가피”

입력 2012-02-20 19:29

이규형 주중 한국대사는 20일 “한·중 양국 간에 어느 정도의 긴장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재외공관장회의 참석차 일시 귀국한 이 대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한국과 중국처럼 인적·물적·지리적·역사적으로 관계가 깊은 이웃 국가 간에는 원하든 원하지 않든 크고 작은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사는 “특히 북한이라는 숙명적인 존재로 인해 양국 사이에 긴장국면이 조성되기도 한다”며 연평도 포격 사건과 천안함 사건, 탈북자 문제 등을 예로 들었다.

탈북자 문제와 관련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 대사는 “우리는 동포애적인 입장에서 탈북자 문제는 인도주의적으로 처리돼야 한다는 점을 중국 측에 누누이 강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대사는 “어떤 대상을 난민으로 인정하느냐는 당사국이 결정하는 것”이라며 “중국은 기본적으로 탈북자에 대해 ‘불법 월경자’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가 전날 중국에 억류된 탈북자들의 강제북송을 우려해 난민협약과 고문방지 협약 등 국제협약 준수를 강력하게 촉구했지만 중국 측이 수용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설명이다.

이 대사는 “연초에 중국 정부 고위인사가 북한을 방문하곤 하는데 올해는 아직 없었고 조만간 있을 것이란 얘기도 듣지 못했다”며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 북·중 관계가 다소 소원해졌음을 암시했다. 그러나 그는 양측 대사관을 통해 지도부가 소통은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단서를 달았다. 23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북·미 3차 회담에 대한 질문에는 “양측의 입장 차이가 있어 어떻게 조율될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답했다.

이 대사는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교섭이 조만간 정식으로 시작될 것”이라며 “FTA는 양국 협력에 있어 새로운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한·중 관계는 정부뿐 아니라 기업, 학계 등의 공동노력이 필요한 ‘총력 복합외교’가 필요하다”며 “양국은 상생공영과 상호공존을 바탕으로 양국 관계를 근본적으로 훼손시키지 않고 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말을 맺었다.

최현수 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