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분 나눠먹기가 야권연대 핵심이라니
입력 2012-02-20 18:02
통합진보당과 4·11 총선 연대를 추진 중인 민주통합당에서 어제 상반된 두 장면이 연출됐다. 하나는 한명숙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심사가 진행되고 있지만 통합진보당과의 야권연대 협상이 타결되면 그 결과를 우선할 것”이라며 “국민이 감동할 야권연대를 이뤄내겠다”고 말한 것이다. 반면 김희철 의원 등 야권연대 거론 지역의 공천 신청자 27명은 기자회견을 갖고 “통합진보당이 노골적인 지분 나눠먹기를 요구하고 있다”며 “밀실야합에서 이뤄지는 야권연대를 걷어치우라”고 주장했다.
민주당과 통합진보당은 지난 17일부터 협상을 벌이고 있으나 난관에 봉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야권 후보를 통합진보당으로 단일화할 지역구 수가 난제다. 통합진보당은 안정적인 원내교섭단체 구성을 위해 비례대표 10석을 포함해 30석 확보가 목표다. 이에 따라 민주당이 15∼20개 지역구를 통합진보당에 양보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정희 심상정 공동대표, 국회 본회의장에서 최루탄을 터트린 김선동 원내부대표까지 당직자들이 출마를 선언한 지역이 포함된 것은 물론이다. 하지만 민주당은 당내 반발 등을 우려해 통합진보당에 한 자릿수를 제시해 절충점 찾기가 여의치 않은 상태다.
이런 야권연대라면 국민 감동은커녕 역풍을 각오해야 할 것 같다. 연대의 핵심이 결국 반(反)MB 정서에 편승한 지분 나눠먹기 아닌가. 민주당 공천 신청자들이 언급한 것처럼 밀실야합의 구태정치요, 반민주정치로 비쳐질 공산이 매우 크다. 유권자들이 지역일꾼을 선택할 권리를 제멋대로 제한하는 오만한 행태이기 때문이다. 지지율은 형편없으면서 민주당에 기대 원내교섭단체를 구성하려 생떼를 쓰는 통합진보당이나, 국민참여경선을 표방하면서 일부 지역에선 국민 의사를 아예 무시하려는 민주당 모두 비난받아 마땅하다.
민주당은 야권연대를 중시한 나머지 통합진보당 공약을 그대로 수용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폐기를 주장했다가 낭패를 보고 있다. 총선 후보 선출문제에 있어선 통합진보당에 끌려 다니지 말고 투명한 과정을 거치는 것이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