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소형확대 방침에 성난 8개 단지 “서울광장서 2월 29일 항의 집회”

입력 2012-02-19 19:13

서울시의 ‘주택 재건축 절반 이상 소형주택 의무화’ 방침에 반발해 서울 개포동 일대 8개 재건축단지 주민들이 집단행동에 나섰다.

19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서울 개포동 일대 8개 재건축단지 주민들은 오는 29일 서울광장에서 항의집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장덕환 개포주공 4단지 재건축 추진위원장은 “지난 14일 강남구청장과 면담을 했는데 ‘주민 의견을 반영해 서울시에 의견을 제시하겠다’는 원론적 이야기밖에 못 들었다”며 “우리의 입장을 전달하기 위해 29일 오후 2시 서울광장에서 집회를 열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서울시가 주택 재건축 사업에서 기존 소형 가구 수의 절반 이상을 소형주택으로 짓도록 의무화하면서 재건축 이후에도 소형아파트에서 살 수밖에 없게 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개포동 일대 재건축단지들은 유독 전용면적 60㎡ 이하의 소형아파트가 많고, 개포주공 1·3·4단지와 개포시영은 100%가 60㎡ 이하로 구성돼 있다.

한 주민은 “노원구에서 35평짜리 집에 살다가 4년 전 개포동 11평으로 이사 오면서 8000만원까지 빚을 졌는데 사유재산을 일방적으로 제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하소연했다.

주민들은 세입자 보호 차원이라는 서울시 논리에 대해 강남의 새 아파트라면 60㎡ 이하라도 전세 가격이 3억∼4억원은 하는데 현재 7000만원 수준의 전세 세입자들이 어떻게 재입주할 수 있느냐고 반박한다.

강남 재건축 아파트는 소형 의무비율 강화 방침 이후 가격이 계속 떨어지는 분위기다.

이달 초 6억6000만∼6억7000만원에 거래되던 개포주공 1단지 공급면적 42㎡ 아파트 가운데 지난주 후반 들어 6억5000만원짜리 급매물이 등장했다. 지난해 1월 최고 7억8000만원에 거래된 적이 있어 불과 13개월 만에 1억원 이상 급락한 셈이다.

개포동 외에 소형주택 비율이 높은 다른 재건축 아파트 소유자들도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고덕동과 상일동 가락동 등 60㎡ 이하 아파트가 많은 재건축단지는 이미 대부분 사업시행인가를 받았거나 평형 배정이 끝난 상황이긴 하지만 시장 침체 분위기에 가격이 하락하며 유탄을 맞고 있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