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주5일 수업이 사교육 자극하지 않으려면
입력 2012-02-19 17:46
다음달부터 시작되는 주5일 수업에 99.6%의 학교가 참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의 1만1493개 초·중·고등학교 대부분이 참여한다고 보면 된다. 1998년에 법적 근거를 만든 뒤 2001년에 연구학교를 운영하고 2004년 월1회 우선시행, 2006년부터 월2회 시행에 이어 마침내 주5일제 수업이 제도권 교육의 보편적인 형태가 된 것이다.
정부는 일찌감치 다양한 정책을 내놨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예술강사와 스포츠 강사를 뽑았다. 토요 돌봄교실, 엄마품 온종일 돌봄교실, 토요 방과후학교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재 탐방 박물관학교 등 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여성가족부는 청소년 방과후아카데미, 보건복지부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를 확충하는 식이다.
문제는 이런 프로그램이 학부모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자체 지원예산이 새 학기가 임박해서야 내려오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부분 학교에서 봄방학이 시작됐지만 놀토 프로그램을 안내한 학교가 많지 않다고 한다. 이로 인해 맞벌이 부부나 저소득층 가정의 경우 이들 토요 프로그램의 수준을 알지 못해 자녀들을 어디에 보내야 할 지 걱정이 태산이다.
따라서 학교가 좀 더 나설 필요가 있다. 교사들은 고대하던 주5일제 실현에 그저 환호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토요일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교장이나 교감, 담당교사 등이 학교에 나와 강사들을 겉치레로 관리하는 수준을 넘어 교육의 효율성을 점검하고 학생들의 반응 등을 면밀하게 체크해 다음 학기를 준비하는 자료로 삼아야 한다. 그게 제도정착의 지름길이다.
학부모들도 인식을 바꿔야 한다. 자녀가 학교에서 지내던 시간을 부모가 대신 때운다는 인식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현장체험학습만 하더라도 인성교육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 아이들이 또 다시 사교육의 수렁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부모의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