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감대 없는 지자체 ‘소통강화’… 전시행정만 강화됐다

입력 2012-02-17 19:19

최근 ‘소통(疏通)’이 사회적 과제로 대두되면서 전국 자치단체들이 대민(對民)소통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주민들의 공감과 기대는 아직 미미한 상태이고, 되레 분열과 갈등을 부추긴다는 우려가 나오는 실정이다.

16일 부산 사상구에 따르면 평직원에게 구정(區政)에 직접 참여하고 결정권한을 주는 ‘내가 구청장이다’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평직원이 매월 한 차례 간부회의에 참석해 부서 현안을 보고하고 평소 추진하고 싶었던 사업 등 아이디어를 발표한 후 구청장과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를 갖는다.

또 부서별 1명씩 총 20명으로 구성된 ‘현장체험 활동반’을 구성해 사업이나 민원 현장에서 부서장의 브리핑을 받고 현장에서 제기된 문제점 등을 사업추진에 활용할 방침이다.

올해를 ‘소통과 도약의 해’로 정한 광주시는 연초부터 일자리 등 8대 민생분야 시정보고회를 갖는 등 시민들과 잇따라 소통의 시간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시장실 홈페이지를 통해 전국 생중계되는 방송을 본 일부 시민들이 남긴 의견에 시장이 실시간 답변하는 ‘쌍방향 소통’을 할 방침이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다양한 계층과의 현장 미팅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난달 13일 대구 동성로 한 식당에서 지역 20∼30대 청년들과 만난데 이어 시 간부들과 무료급식소, 기업, 인력시장 등을 찾아 대화하고 있다.

직제를 개편한 지자체들도 있다. 포항시는 시장 직속으로 ‘시민소통담당관실’을 둬 소통 네트워크 구축에 나섰고, 경남도는 행정정보 공개와 소통 등을 맡을 공개협업담당을 신설했다.

그러나 상당수 주민들은 “일부 아이템이 아직도 보여주기식, 형식적인 부분이 많아 공감하기 어렵다”면서 “다른 지역간, 세대간 분열과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산교대 사회교육과 황홍섭 교수는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을 통한 다양한 소통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다”며 “아이템이 아닌 사람과 사람 간 신뢰와 공감대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