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최대 격전지 PK… 여야 결투 후끈] 새누리 “野風 초기에 차단”
입력 2012-02-17 19:14
4·11 총선 최대 격전지가 된 부산· 울산·경남(PK)이 여야의 격돌로 벌써 후끈 달아올랐다. 민주통합당은 한 달 새 두 번이나 지도부가 총출동하면서 낙동강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맞서 새누리당은 다음 주에 공천 신청자 첫 현장면접을 부산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맞불 작전에 돌입한다. PK 지역 41석 중 새누리당은 35석 이상을, 민주당은 최소 10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PK에서 불고 있는 야당 바람과 반(反)여당 정서가 심상치 않다는 판단에 따라 조기 총력전을 펴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당 자체 여론조사에선 부산 지역 당 지지도에 큰 변동이 없지만 이곳 의원들은 연일 중앙당을 향해 아우성이다. 당 내부에서도 “PK가 무너지고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이 당선될 경우 대권마저 위험하다고 보고 대선 전략 차원에서 총선에 임해야 한다”는 주장이 커진다. 1990년 3당 합당을 통해 김영삼 전 대통령이 민주자유당에 합류한 이래로 이어져 온 ‘PK=여권 텃밭’이란 공식이 무너져선 안 된다는 것이다.
오는 20일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가 부산 현지로 직접 내려가 지역구 공천 신청자 면접을 실시하는 게 총력전의 첫 걸음이다. 당 지도부가 이 지역 조기공천과 전략공천을 최우선 과제로 내세웠음을 과시하려는 포석이다. ‘낙동강벨트 야풍(野風)’을 방치했다가 엄청난 태풍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반영된 듯하다. 황영철 대변인은 17일 “인물 면이나 당 상황으로 볼 때 18대 총선과 비교해 PK 상황이 굉장히 달라졌다”면서 “정말 엄중하게 대응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공천위는 현지 여론을 수렴하면서 야당의 ‘문성길(문재인·문성근·김정길) 트리오’ 지역(부산 사상, 북·강서을, 진을)의 전략공천 후보 선정에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설동근 전 교육부차관은 연제에, 북한인권운동가인 하태경 열린북한방송 대표는 문성근 최고위원이 출마한 북·강서을에, 문대성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은 사하갑에 비공개 신청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전략공천 방침에 따라 지역구가 조정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다음 주말을 전후해 부산을 직접 방문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부산시당은 박 위원장이 강조해온 ‘국민행복’, ‘국민 눈높이’에 맞춰 자갈치시장과 사상·녹산 공단을 방문해 서민과 중산층 민심을 잡을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 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26 부산 동구청장 재선거에서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및 부산저축은행 사태 등으로 민심이 악화돼 텃밭을 내줄 위기에 처했을 때도 박 위원장의 두 차례 지원유세가 결정적으로 판세를 돌렸다.
민주당이 부산과 창원에서 최고위원회를 개최한 것처럼 박 위원장이 직접 주재하는 비대위 회의를 현지에서 순회·반복 개최할 필요가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하지만 당 관계자는 “박 위원장이 부산에 내려가는 일정은 아직 확정된 게 없다”고 밝혔다. 박 위원장이 빈손으로 내려갈 순 없지 않느냐는 지적 때문이다. 당은 남부권 신공항 건설을 총선 공약에서 제외하고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인 저축은행 특별법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겠다고 해법을 내놓았지만 부산지역 의원들은 특별법의 조속한 처리만이 방법이라고 촉구하고 있다. 이처럼 특별법안 처리 방침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박 위원장이 부산에 내려갔다가 여론만 더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재호 기자 j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