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 총선 D-60] 다급한 與 “인물난에 물갈이 만만찮네”

입력 2012-02-10 22:20


새누리당이 잘 안 풀리는 공천 해법 때문에 다급해졌다. 지역구 현장에선 조기공천 목소리까지 커지고 있지만 자발적 용퇴자는 기대에 못 미치고 공천 신청과 인재영입 실적마저 저조하기 때문이다.

유기준 부산시당위원장은 10일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낙동강 벨트’에 대한 특별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조기공천’을 정식으로 요청했다. 그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상임고문이 나오는 부산 사상은 새누리당 후보가 여러 명인데, 이런 상황이 오래 계속되면 세력이 분열된다. ‘문재인 바람’에 맞서기 위해 조기 공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에 공천위 내부에서도 공감하는 분위기가 많다. 야당 후보로 유력인사가 사실상 확정된 지역에 새누리당 후보가 난립하거나 전략공천 대상으로 선정된 지역은 조기공천을 해야 한다는 논리다. 하지만 공천 신청자는 10일 현재 400여명에 불과하다. 지난 18대 총선 당시 지역구 공천 신청자는 전국 245개 지역에 1171명이 접수해 4.8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지역구 선택을 앞둔 후보들의 눈치작전, 140개 항목에 이르는 자기검증진술서 등 엄격해진 도덕성 기준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영남권의 한 의원은 “도덕성 기준이 높아 지역구에서 활동 중이던 2명이 아예 신청을 포기할 모양”이라며 “공천 탈락 시 해당 선거구에 출마하지 않겠다는 자필서약까지 해야 하니 무소속으로 나서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공천위는 공모 마감을 오는 15일까지 연장했다. 권영세 사무총장은 “인물난이 아니고 인물 선택난”이라면서도 “중간 선거는 정권 심판적 성격이라 (인재 영입이) 어려운 건 틀림없다”고 실토했다.

조동성 비대위원이 주도하는 새 인재 영입에도 실속이 없다는 소리가 나온다. 영입이 거론된 소설가 이문열씨는 새누리당으로부터 제안을 받은 적도, 총선에 참여할 뜻도 없다고 밝혔고 다른 외부 인사들도 손사래를 치고 있다.

인물난 때문에 현 정부 실세 퇴진론이나 친박근혜계 중진 용퇴론이 먹혀들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7일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한 이후 홍준표 전 대표와 친박계 김성수 의원 정도가 지역구 출마를 포기했을 뿐이다. 이에 따라 현역의원 하위 25% 공천배제 원칙과 전략지역 개념 확대 등을 통해 신진 인사에 길을 터줄 명분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박 위원장이 강조한 ‘화룡점정(畵龍點睛)’을 찍기 위해 비대위가 공천위의 권한과 재량권을 확대해준 것도 이 때문이다.

정재호 기자 j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