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친이계 배제·당청 결별’ 기류 심상찮다… 친이계 공천 탈락땐 ‘2008년 사태’ 재연 될 수도
입력 2012-02-10 18:48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 확대와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의 ‘국민 눈높이 공천’ 언급 이후 새누리당 내부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새누리당이 이명박 정권과의 당·청 결별 수순에 본격 착수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간 박 위원장이 접수한 이후 여당은 ‘이명박당’에서 ‘박근혜당’으로 비교적 빠르게 전환돼 왔다. 정강·정책 수정을 통해 경제민주화와 복지확대 조항을 삽입하고 MB정부 주요 기치였던 ‘선진화’ 표현이 삭제됐다. 당 간판도 내렸고 로고와 색깔도 바꿨다.
형식과 내용의 차별화가 어느 정도 된 이상 이제 단절 대상은 핵심이라 볼 수 있는 ‘사람’이 남은 셈이다. 그런데 4·11 총선을 두 달 앞둔 시점에서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이 그 계기로 작용하게 된 것이다. 검찰 수사를 앞둔 박희태 전 국회의장과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은 친이명박계 및 청와대와의 관계를 정리하는 ‘가늠자’ 역할을 할 것이라는 얘기가 주류 주변에서 나온다.
때마침 박 위원장이 9일 공천과 관련해 직접적인 발언을 내놓자 친이계도 자신들을 솎아내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실제 비대위 내 강경파는 구(舊)체제로 대변되는 친이계를 철저하게 배제하지 않고서는 쇄신노력이 국민적 공감을 얻을 수 없다는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돈 비대위원은 10일 라디오에 출연해 돈 봉투 사건에 대해 “모든 일은 옛 한나라당, 말하자면 구체제에서 있었던 일”이라며 “(박 전 의장 사퇴는) 때늦은 감이 있다”고 말했다.
결국 공천에서 친이계의 대거 탈락이 현실화될 경우 ‘2008년 한나라당 분열사태’를 넘어서는 일이 재연될 가능성이 있다. 당시 낙천한 친박계가 탈당했지만 정권 초기여서 그 파괴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번에 친이계가 나가 오는 13일 중앙당을 창당하는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의 ‘국민생각’ 등에 가담할 경우 보수진영 분열은 총선은 물론 대선 판도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 친이계 의원은 “원칙도 없이 차별화를 위해 무조건 친이를 자르겠다는 것은 받아들이지 못하겠다”며 “무소속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