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강철규 공심위장 ‘전략 공천’에 승부수

입력 2012-02-07 18:56

민주통합당의 공천심사위원회가 중점을 둘 분야는 ‘전략 공천’이다. 과거와 달리 전략공천 지역을 제외하고는 국민경선으로 후보를 뽑기로 했기 때문이다. 국민경선 지역의 경우 경선에 참여할 예비후보 2∼4명을 선발하는 것으로 임무가 끝난다. 영향력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

이와 달리 전략공천의 경우 대상 지역을 선택하는 것부터 후보자를 정하는 것까지 거의 전적으로 공심위가 역할을 하게 될 전망이다. 당 지도부는 전체 245개 지역구의 최대 30%에 대해 경선 없이 전략공천을 하기로 결정해 놓은 상태다. 30%는 74개 지역에 해당된다.

서울과 경기도의 정치적 의미가 큰 지역이 우선적으로 선택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종로나 중구, 새누리당 텃밭이라 할 수 있는 강남지역과 경기도 분당 등이 여기에 해당될 수 있다. 새누리당과의 각축전이 예상되는 충청과 강원지역 일부도 포함될 수 있겠다.

이들 지역의 경우 예비후보로 등록해 현재 뛰고 있는 사람이 약하다고 판단되면 중량감 있는 인사를 적극적으로 영입해 공천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런 지역은 전체 선거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외부인사 영입이 중요하다.

호남지역 일부도 전략공천 대상이 된다. 이 지역은 전통적 텃밭이어서 웬만하면 당선되기 때문에 물갈이 중점 지역이다. 물갈이를 위해 지역 민심이 좋지 않거나 의정능력이 떨어지는 현역 국회의원들을 공천에서 대거 탈락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 지역의 경우 중량감보다는 젊고 참신한 인사 공천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전망된다. 당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강철규 공심위원장이 강조해온 ‘개혁성’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여성후보 공천도 공심위가 심혈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당 지도부는 지역구의 15%(37개 지역)를 여성에게 할당키로 결정한 상태다. 그러나 남성 예비후보들의 반발이 만만찮다. 7일 현재 여성이 예비후보로 등록한 지역은 39곳에 불과하다. 희망자 거의 대부분이 공천 받을 수 있는 상황이어서 남성들에게 역차별이라는 주장이다.

정청래 전 의원 등 수도권 중심의 남성 예비후보 10여명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여성 15% 의무공천을 (의무가 아닌) 권고조항으로 하거나 예외규정을 두도록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8일 오전 최고위원회의장을 찾아 공식 항의할 계획이다. 이런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서는 많은 여성들을 영입하는 수밖에 없다. 지도부와 공심위가 어떤 노력을 할지 주목된다.

성기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