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여성15% 공천… 모바일투표 전면도입

입력 2012-02-06 18:43


민주통합당 공천심사위원회가 당 지도부의 간섭에 휘둘리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6일 국회에서 열린 첫 공심위 회의에서 강철규 위원장은 “기득권 지키기, 지분 나누기 등 낡은 행태는 철저히 배제하겠다”고 말했다. 민주당 공심위의 경우 위원 15명 중 절반에 가까운 7명이 당내 국회의원이어서 소신껏 공천 작업을 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회의에 참석한 한명숙 대표는 “공심위의 공천 독립성을 완전히 보장해드리겠다”고 화답했다.

강 위원장은 이와 함께 “민주당에는 총선 승리와 의석수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새 시대에 맞는 정치 변화, 이를 통한 대한민국의 변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우리는) 심부름하러 온 게 아니다. 정의의 여신 ‘디케’가 되어 시대정신을 담아내겠다”고 다짐했다. 공심위는 젊은이에게 희망과 꿈을 찾아줄 실현 가능한 방안, 99% 서민의 아픔을 정책과 제도로 해결할 방안, 경제의 가치와 사람의 가치가 충돌하면 어떤 선택을 할지 등을 3대 공통질문으로 정했으며 답변 내용을 공천 면접 심사 때 반영키로 했다.

이 같은 결정은 당선 가능성 못지않게 개혁 성향의 참신한 인재를 중점적으로 선발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돼 현역 정치인 지역구의 대대적인 물갈이 공천이 예상된다. 공심위가 개혁성 및 도덕성을 잣대로 현역의원 탈락을 결정하는 것이 이번 공천의 하이라이트가 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 민주당은 전체 245개 지역구의 최대 30%(74개 지역)에 대해서는 경선 없이 전략공천을 실시하고 15%(37개 지역)는 여성후보를 공천할 방침이다. 또 지역구 후보자 공천을 위한 국민경선에 모바일투표를 전면 도입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국민경선과 관련해 모집 선거인단 수가 지역구 유권자의 2%에 미달하면 동원 경선의 폐해가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여론조사를 병행 실시키로 했다. 이 경우 현장투표 및 모바일투표를 70%, 여론조사를 30%씩 반영해 후보를 선출하게 된다.

그러나 공천 원칙이 정해지자 남성 예비후보들이 ‘여성에 대한 지나친 특혜’라며 반발하고 있다. 지역구 15% 공천은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해 2008년 18대 총선 때 8%로 늘린 여성 공천 비율을 2배 가까이 또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것이다. 그러나 남성 예비후보들은 현재 여성이 예비후보로 등록한 곳이 39곳에 불과해 여성 예비후보 대부분이 공천을 받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