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윤리경영 실천해야 기업 존속할 수 있다

입력 2012-02-06 17:57

세금을 아끼려고 세무공무원 출신을 고문으로 영입한 SK와 청와대에 로비를 해 총수가 풀려나도록 손을 쓴 현대차그룹의 도덕불감증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무리한 재벌해체가 성장동력을 없애는 바람에 오히려 국가경제에 마이너스 효과만 가져올 수 있다는 주장에 동의하지만 이런 불감증을 방치해서는 기업의 미래가 없다. 겉으로는 집중투자로 실업해소와 경제성장의 견인차가 되겠다고 다짐하지만 뒤로는 온갖 추태를 다 벌이고 있다는 말이다.

세무조사 무마 청탁의 대가로 거액을 챙긴 혐의로 어제 추가 기소된 이희완 전 서울지방국세청 국장과 SK그룹은 악어와 악어새 같은 공생관계를 유지했다. 이씨는 2006년부터 6년간 SK그룹 계열사의 세무조사를 막아준 대가로 30여억을 받았다. SK측에서 이씨와 고문계약을 맺은 것이다.

현대차도 마찬가지다. 정몽구 회장이 편법상속으로 거액의 상속세를 포탈해 구속되자 청와대를 겨냥해 석방 로비를 벌인 것이다. 2006년 8월 당시 청와대 인사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열린우리당 이화영 전 의원에게 1억여원을 준 사실이 저축은행 비리합동수사단에 최근 적발됐다. 저축은행으로부터 로비 자금을 조달했다가 뒤늦게 꼬리를 잡힌 것이다.

세금을 안 내거나 적게 내려는 범죄도 용서받기 힘든데 이것이 적발되자 총수를 구하기 위해 다시 정치인을 끌어들여 이중으로 죄를 짓는 파렴치한 짓을 한 것이다. 이 모든 비용은 결국 소비자에게 넘겨질 수밖에 없다. 세금포탈은 담합과 함께 우리나라 재벌의 습관적인 범죄로 굳어진 지 오래지만 도대체 반성의 빛이 없다.

양대 선거가 예정된 올해에는 정권획득에 안달이 난 정당들이 앞다투어 재벌개혁을 외치고 있다. 정치권의 무차별적인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서라도 대기업은 하루빨리 윤리경영을 실천하길 바란다. 이 같은 노력이 결실을 맺어 국민들에게 감동을 줄 때 만이 재벌해체 주장은 구호로 그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