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求團 vs 정책反亂… 여야 ‘표심 얻기’ 네이밍 경쟁
입력 2012-02-05 19:00
여야가 4·11 총선 공약 ‘작명(作名)’에 열을 올리고 있다. 서로 새로운 이름으로 공약을 포장해 유권자들의 표심을 사겠다는 전략이다.
새누리당은 지난달 중순 총선공약개발단을 발족하면서 개발단 이름을 ‘정책구단(政策求團)’으로 지었다. 정책위 관계자는 5일 “국민에게 가장 필요한 것을 찾아주자, 구하자는 뜻에서 지은 것”이라고 말했다. ‘정책9단’으로도 읽혀 집권여당 경험과 새로운 정책 비전 의지를 담았다는 설명이다.
정책구단은 행복·민생·미래·경제·안보·정치 구단으로 구성되며 각 구단에는 2∼5개의 팀이 딸려 있다. 행복구단 산하 맞춤형복지팀에서부터 정치구단 산하 생활안전팀까지 총 6개 구단 21개 팀이 활동한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은 이명박 정부 정책을 비판하되 실효성 있는 대안도 내놓겠다며 공약 타이틀을 ‘정책반란(政策反亂)’으로 정했다. 이용섭 정책위의장은 지난달 26일 고위정책회의에서 “금년 양대 선거에서는 정책이 주요 현안이 될 것”이라며 “이명박 정부의 정책에 대한 유쾌한 반란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고했었다. 지난달 29일 ‘유쾌한 정책반란’ 시리즈 첫 공약으로 재벌세 도입 검토와 10대 재벌 출자총액제한 부활을 포함한 재벌개혁을 제시했고 2, 3탄으로 노동개혁 및 청년복지 정책을 공개했다.
양당은 구체적인 공약에서도 작명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5가지 ‘실천 약속’과 ‘평생맞춤 복지’, ‘걱정 없는 우리집’ 시리즈 등을 묶어 ‘5+5’ 정책 전략을 내세우고 있다.
민주당은 각종 사회·노동 분야에 ‘∼복지’란 단어를 붙이는 방법을 선보이며 ‘3+3’ 총선 공약을 제시했다.
하지만 여야의 ‘네이밍 경쟁’에 대해 “이름값을 제대로 할지 의문”이라는 반응도 나온다. 한 정치권 인사는 “표를 얻을 만한 정책은 다 만들겠다는 식으로 새 이름을 붙이는 데 이러다 진짜 지키지도 못하는 공약(空約)이 되지나 않을지 걱정”이라고 꼬집었다.
신창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