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개혁·도덕성 공천”… 韓 대표-외부 공심위원 회동

입력 2012-02-05 19:00

대한민국 정치1번지 여의도에 칼바람이 불고 있다. 여야가 4·11 총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공천 작업에 돌입하면서 다수의 현역 의원들이 “이번에 물갈이되는 게 아니냐”며 벌벌 떨고 있다. 새누리당에서는 역대 최고 수준의 현역교체론이 대두된 상태이고, 민주통합당 역시 “엄정한 심사를 통해 의원 자격이 없는 사람은 솎아낼 것”이라는 입장이다.

민주통합당 공천심사의 가장 큰 잣대는 개혁성과 도덕성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당선 가능성이 중시됐던 4년 전 18대 총선 공천 때와 대비되는 모양새다. 이는 이번 총선의 표밭 분위기가 과거 어느 때보다 민주당에 우호적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강철규 위원장을 비롯한 8명의 외부 공심위원들은 5일 한명숙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첫 모임을 갖고 “개혁성, 공정성, 가치중심, 국민중심 등 공천의 원칙에 동의했다”고 신경민 대변인이 전했다.

신 대변인은 “공천이 민주주의가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전제에 동의했다”면서 “사심을 배제하고 개혁적이면서도 도덕적인 인물들을 총선에 내보내자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공심위원들은 특히 예비후보의 과거 행적을 공천심사에 비중있게 반영하자는 데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심위 첫 모임의 분위기를 종합해 볼 때 무게감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개혁성과 도덕성을 갖춘 후보를 많이 공천함으로써 총선의 전체 구도를 ‘깨끗한 개혁 대 부패한 보수’로 몰고 가는 게 유리하다는 판단을 한 것 같다. 이 전략으로 총선에서 승리할 경우 연말 대선에서도 주도권을 쥘 수 있다는 판단을 했음직하다.

4년 전 민주당은 대선 패배 직후로, 여론의 외면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당선 가능성이 가장 우선시 될 수밖에 없는 분위기였다. 개헌 저지선이라도 확보해야 하는 다급한 처지였다. 이에 따라 공천의 평가항목별 배점은 당선가능성 40점, 면접 20점, 도덕성 10점, 정체성 10점, 기여도 10점, 의정활동 10점이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전력에 흠이 없는 개혁 성향의 인물을 발탁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큰 폭의 물갈이를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외부 공심위원들에게는 이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듯하다. 특히 민주당의 정강·정책이 구 민주당에 비해 상당히 ‘좌클릭’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예비후보의 개혁성이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강 위원장은 재벌개혁 전도사로 불리는 공정거래위원장 출신이다. 조은 공심위원은 언론과의 접촉에서 “민주당의 정책이나 정체성에 맞는 기준을 만들어 심사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남주 공심위원도 “당 정체성에 부합하는 분들이 선출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고, 문미란 공심위원은 “개혁적이고 새로운 인물이 많이 참여하도록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당 지도부 및 공심위 구성 때 소외된 시민사회 세력이 공천 과정에서 ‘특별한 대접’을 받을 수도 있다. 한명숙 대표가 주도한 공심위 구성에 강한 불만을 표시했던 문성근 최고위원 등 시민통합당 출신들이 하루 만에 입을 다문 데는 모종의 언질이 있었기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변수는 내부 공심위원인 7명의 국회의원들이다. 이들은 대부분 개혁적 성향이긴 하지만 당내 여러 세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외부 공심위원들의 ‘칼질’에 제동을 걸 가능성이 없지 않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