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새누리당 당명 논란 참으로 딱하다
입력 2012-02-05 17:42
새누리당이 당명 문제로 내일 의원총회를 개최한다. 남경필 의원 등 쇄신파로 불리는 일부 의원들과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 측근인 유승민 의원까지 반발하며 의총 소집을 요구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당명 개정이 민주적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이뤄졌다거나, 정체성과 가치가 반영되지 않은 당명이라고 지적한다. 더 나아가 유치원이나 애완견 이름 같다면서 기존의 한나라당이 더 낫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반면 당명 개정을 주도한 조동원 홍보본부장은 “새누리란 이름은 국민 마음을 읽고 찾아내 당과 연결시킨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총선을 2개월여 앞둔 여당의 딱한 모습이다.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당명 논란은 이쯤에서 접는 게 바람직하다. 박 위원장이 당명을 바꾸기로 결심한 데에는 한나라당이라는 간판으로는 총선을 치르기 어렵다는 당 소속 의원들의 요청이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지난달 27일부터 나흘간 국민공모를 실시해 탄생한 게 새누리당이다. 이렇듯 바꾸라고 해서 국민들에게 물어본 뒤 바꿨더니 의원들 의견을 묻지 않았다는 등 논쟁을 이어가는 것은 올바른 처신이 아니다. 더욱이 일단 결정된 당명을 없던 일로 하고, 다른 당명을 채택한다면 당 모양새가 얼마나 우스워질 것인가. 설사 당명을 다시 바꾼다고 해서 지지자들이 늘어날 가능성도 없다. 당명 분란은 여당에 실망감을 더해줄 뿐이다.
박 위원장은 리더십에 다시 상처를 입었다. 민주적 절차가 무시됐다는 당내 일각의 주장을 인용해 좌파·진보 진영에서 ‘당명 파동’ 운운하며 박 위원장의 독선적 스타일을 재차 부각시키며 공격하고 있는 탓이다.
지금 여당에게 당명은 부차적인 것이다. 당명이 위기에 빠진 여당에 살 길을 담보하지 못한다. 포장이 아니라 국민을 감동시킬 수 있는 내용들을 얼마나 알차게 채우느냐가 중요하다. 새 정강정책에 명시된 대로 국민행복을 구현하기 위한 정책들을 개발하고, 민생정치에 헌신할 인재들을 공천하는 쇄신과 변화에 매진해도 신뢰를 회복할까말까 한 게 여당의 현실임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