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6 보선 관여자 불출마 주장에 “박근혜도 유세” 반박… 새누리, 공천 문제 놓고도 연일 시끌
입력 2012-02-03 21:44
새누리당이 공천을 놓고도 연일 시끄럽다. 3일 19대 국회의원 선거 지역구 후보자 추천 신청 공고가 나오고 공직자후보추천위원회의 심사가 본격화되면서 이를 둘러싼 신경전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권영세 사무총장은 CBS라디오에 나와 “과거에는 도덕성 기준이 지켜지지 않은 경우가 있었으나 이번에는 엄격히 적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명박 정부 실세 용퇴론’에 대해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위기상황 때는 많은 분이 용퇴했는데 이번에는 너무 없지 않나 생각한다”면서 “당이 (이 대통령 집권) 3년 만에 위기상황을 맞고 있어 누군가는 ‘잘못했다’는 얘기를 하고 책임지면 좋겠다”고 했다. 황영철 대변인도 “선배 의원들이 인적쇄신의 물꼬를 터줬으면 하는 바람들이 당내에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친이명박계 신지호 의원은 MBC라디오에 출연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관여자의 총선 출마 불가 주장에 대해 “박근혜 비대위원장도 나경원 후보 유세에 아주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반박했다. 신 의원은 공천위원들의 자격논란에 관해 “민주당 공천을 신청했다든가, 민주당 대선후보를 도왔다든가 이런 이력을 가진 분들이 칼을 휘둘렀을 때 탈락자들이 승복을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의원들은 당 부설 여의도연구소가 설 연휴 이후 전국 선거구에서 실시한 현역의원 여론조사결과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조사는 현역의원 인지도와 의정활동평가, 지역민의 재선출 의사, 야권 단일후보와의 경쟁력 등 4개 문항으로 이뤄졌다. 또한 사무처가 지난달 31일 끝낸 당무감사결과도 초미의 관심사다.
이런 가운데 사무처가 지난해 9월 작성한 것으로 알려진 현역의원 39명 명단이 공개되면서 당 전체가 뒤숭숭하다. 명단에는 18대 국회에서 재판에 계류 중인 의원(1명), 의원직 비상실형으로 재판이 종료된 의원(13명),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의원(25명)의 이름이 올라 있다. 검찰 내사까지 받은 의원을 포함하면 50명이 넘는다는 말도 돈다. 권 총장은 “공천 기초자료도 살생부도 아니며 박 위원장에게 보고도 안 됐다”며 “지나친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고 진화에 나섰다.
한민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