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자리 뒤숭숭하면 전투기 몰지마!… 공군, 한국형 위험관리체계 마련
입력 2012-02-03 18:51
공군이 조종사의 간밤 꿈자리까지 반영한 위험관리체계를 개발했다.
공군은 3일 조종사의 비행안전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한국형 위험관리체계’(K-ORM) 개발을 완료하고 일선 전투비행대대에 적용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 체계는 임무를 맡은 조종사가 비행 전 자신의 건강 상태와 피로도, 심리상태 등 9가지 신상정보를 입력하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임무 난이도와 최근 임무현황, 기상상태 등 위험요소를 반영해 안전등급을 평가해준다. 입력되는 각각의 위험요소를 계산해 ‘정상비행’, ‘위험완화 및 관리감독’, ‘비행취소 고려’ 등 3단계로 평가된다. 이에 따라 가족뿐 아니라 임무 조종사 자신이 간밤에 꿈자리가 사나워 잠을 설쳤다면 심리상태 불안정으로 비행 취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평가도 나올 수 있다.
공군은 기상 정보, 임무 조종사가 스스로 입력한 건강상태, 수면 시간, 식사 및 음주 여부, 심리상태 등 총 22개 위험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 분석하는 체계라고 설명했다.
공군은 임무 조종사 스스로 비행안전 저해요인을 식별해 제거하고 관리자는 소속 조종사들의 비행에 필요한 심리상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지휘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항공안전관리단 조병수(공사 31기) 대령은 “K-ORM 체계의 장점은 다양한 위험요소에 대한 평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며 “조종사들이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비행작전 임무에 전념하도록 보완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공군은 지난 1일부터 KF-16 전투비행대대에 우선 적용한 이 체계를 이달 13일부터는 F-15K, F-4, F-5를 운용하는 모든 전투비행대대로 확대하기로 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