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피해자 양산하는 다단계 조직 엄단하라
입력 2012-02-03 17:45
정부가 이른바 ‘거마 대학생’ 발생을 막기 위해 악덕 다단계 혐의가 있는 20여 개 업체를 직권 조사키로 한 것은 대학을 비롯한 취약계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다. 거마 대학생은 서울 송파구 거여동과 마천동에서 합숙생활을 강요당하며 불법 다단계영업을 한 피해 학생들을 말한다. 악덕 다단계 업체는 최근 경찰의 단속을 피해 인근 강동구나 경기도 성남시·하남시 등지로 옮겨 여전히 활개치고 있다.
이들은 송파 지역의 좁은 집에 남녀가 합숙하며 친구나 친척 등을 하위 판매원으로 끌어들이면 고액수당을 받을 수 있다는 유혹에 쉽게 넘어갔다. 이들은 윗선이 시키는 대로 수백만원을 대출받아 물건을 구입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남는 것은 인간관계 파탄과 신용불량자라는 낙인뿐이다. 자식이 불법 다단계에 빠졌다는 소식을 듣고 찾아온 부모를 외면하며 돈을 벌 때까지 나가지 않겠다고 버틴다니 업체의 감시와 압박 강도가 얼마나 심했겠는가.
거마 대학생은 치솟는 대학 등록금 때문에 아르바이트로는 학비와 생활비를 조달하기 힘든 현실이 만들어낸 기형적인 현상이다. 가정 형편이 어려운 대학생들이 단시간에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는 달콤한 유혹에 쉽게 넘어갈 수 있는 토대가 이미 마련돼 있다는 의미다. 한 때 수천명의 젊은이들이 거마지역에서 활동해 사회문제가 될 정도로 심각하다. 그동안 수사기관이 수시로 단속했지만 다단계 조직은 장소를 옮기고 법망을 교묘하게 피해 불법영업을 하며 대학생들을 끌여 들였다.
정부는 다짐대로 법령을 위반하는 업체에게 존속할 수 없을 정도의 과징금을 물리고 수사기관에 고발해야 할 것이다. 지능화하는 다단계 업체의 횡포에 대응하기 위해 변종 다단계까지 조사를 확대하는 것도 당연하다. 대학 신입생 등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 피해사례를 적극 홍보해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래서 대학생들이 다단계 업체의 근처에도 가지 못하게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