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공천 작업 어떻게… 심사기준 통해 ‘물갈이’ 폭 드러날 듯
입력 2012-02-03 00:44
민주통합당도 2일 공천 작업에 사실상 시동을 걸었다. 민주당은 강철규 위원장에 이어 이번 주 내에 공심위원 인선을 마무리해 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확정할 계획이다. 공심위는 당내외 인사 반반씩 14명으로 꾸리는 방안이 유력하다. 내부 인사의 경우 최고위원들로부터 1명씩 추천받아 안배하는 방식을 취하고, 외부 인사는 한명숙 대표가 다양한 채널을 통해 발굴한 사람 중 당 정체성과의 적합도, 참신성, 명망 등을 두루 고려해 낙점한다는 방침이다.
당외에서는 ‘접시꽃 당신’의 작가 도종환 한국작가회의 부이사장이 맡기로 했다. 당내에서는 노영민 우윤근 박기춘 백원우 의원이 확정적이다. 또 ‘여성 30% 할당’ 당헌에 따라 최대 5명의 여성 위원이 포함될 것으로 보이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최영희 의원과 여성 법조인 이름이 오르내린다. 전병헌 조정식 의원도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공심위는 다음 주 초 마련될 새 당규와 시행세칙을 토대로 공천심사의 기준을 마련하게 된다. 이 기준을 통해 당이 공언해 온 ‘공천혁명’의 구체안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공심위는 9~11일 후보자 공모를 한 뒤 13일쯤부터 후보자 심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2008년 18대 총선 당시 ‘박재승 공심위’는 비리 전력자 원천 배제와 호남의원 30% 물갈이 기준을 정해 이를 관철시켜 호평을 받은 적이 있다. ‘강철규 공심위’ 역시 예상을 뒤엎는 기준을 내놓을지 주목된다.
당내외 분위기에 비춰볼 때 텃밭인 호남과 선전이 유력한 수도권의 경우 현역의원 및 원외 지역위원장 교체 폭이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지역의 선거 환경이 어느 때보다 좋기 때문에 당선 가능성 외에 정체성, 도덕성, 의정활동 능력 등을 평가항목에 포함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정치 신인들에게 좋은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민주당은 경합지역의 경우 원칙적으로 경선을 실시한다는 방침을 정해 놓은 상태다. 공심위가 지역구별로 3명 정도씩 경선 후보군을 정하면 20일부터 경선이 실시된다.
지도부가 전체 선거구의 30%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는 전략공천 카드를 어떻게 활용할지도 관심이다. 전략공천의 경우 호남권에 집중될 것으로 보이며, 최고위원회가 중심이 돼 각계인사 영입작업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비례대표의 경우 공심위에 공천을 맡겼던 2008년과 달리 ‘비례대표 후보자 추천심사위원회’를 별도로 구성해 심사토록 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15일을 전후해 이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