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부패 전도사’ 내세워 공천 작업 칼바람 예고… 민주통합, 강철규 공심위장 선임 안팎
입력 2012-02-01 21:50
민주통합당이 강철규 우석대 총장을 공천심사위원장에 선임한 것은 강력한 개혁공천 의지를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한명숙 대표는 강 위원장 인선 배경을 설명하면서 ‘강직’ ‘청렴’ ‘개혁’을 유난히 강조했다. 지난달 전당대회에서 공천혁명을 약속했던 한 대표가 그를 앞세워 대대적인 물갈이 공천을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강 위원장은 개혁과 반부패 전도사라 불린다. 이력이 말해준다. 서울시립대 교수 시절 재벌개혁과 금융실명제, 부동산실명제 등을 주장했다. 경실련 창립 멤버로 참여해 공동대표까지 지냈으며, 공정거래위원장과 부패방지위원장이라는 장관급 공직을 거쳤다. 노무현정부 때 공정거래위원장으로 재직하며 출자총액제한제 개선, 재벌총수의 과도한 지배력 행사 방지, 소액주주 권리향상 등을 담은 시장개혁 로드맵을 마련해 추진했다.
그는 위원장에 선임된 직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일단의 공천방향을 제시했다. 공천 대상으로 사람을 존중하는 인물, 시대 흐름을 읽고 99% 서민의 아픔에 공감하면서 제도적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인물, 공정 및 신뢰 사회 구축에 노력하는 인물 등 ‘3대 공천 기준’을 제시했다. 다소 원론적인 발언이긴 하지만 자신의 개혁의지를 ‘새 인물 찾기’에 적용하겠다는 말로 들린다.
강 위원장이 자신의 이런 뜻을 구현하려면 현역의원을 탈락시키는 물갈이 공천이 불가피하다. 특히 민주당이 호남당 이미지를 벗고 수도권에서 선전하기 위해서는 호남 지역구 의원들을 대거 배제하는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수도권에서도 참신하고 개혁성 갖춘 인물을 적극적으로 찾아나서야 한다.
문제는 강 위원장이 4년 전 18대 총선 공천 때 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처럼 물갈이 공천을 강력하게 밀어붙일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대한변협회장 출신인 박 위원장은 당시 뇌물수수, 알선수재, 공금횡령, 파렴치범, 개인비리 등으로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된 인사를 예외 없이 탈락시켰다. 박지원 전 청와대 비서실장, 김대중 전 대통령 차남인 김홍업 의원, 신계륜 사무총장, 김민석 전 최고위원, 이상수 전 노동부장관 등 거물급 정치인이 공천을 받지 못했다. 박 위원장은 졸지에 ‘공천 특검’ ‘공천혁명 지켜낸 뚝심의 저승사자’라 불렸으며 그에 대한 국민적 지지는 대단했다.
하지만 현 민주당의 경우 당 대표와 사무총장이 모두 비리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어서 강 위원장의 운신에 제약이 될 것으로 보인다. 벌써부터 당내에서는 “법의 잣대로 융통성 없이 공천한 박 전 위원장과 달리 강 위원장은 국민의 상식에 따라 공천할 것으로 본다”는 ‘기대’ 섞인 발언이 나오고 있다. 결국 공천혁명 성공 여부는 한 대표를 비롯한 당 지도부의 의지에 달렸다고 하겠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