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구 의원 145명 중 최소 74명 탈락할 듯… 한나라 공천위, 공천심사 일부 가이드라인·물갈이 폭 제시

입력 2012-02-01 21:50


한나라당이 야당보다 먼저 4·11 총선 공천위원 인선을 마무리한 데 이어 일부 공천심사 가이드라인과 물갈이 폭을 제시하는 등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공천위원인 권영세 사무총장은 총선 D-70인 1일 라디오와 TV에 잇달아 출연, “전략공천지역 49곳(20%)은 무조건 탈락(하위 25% 공천 배제) 지역 25곳과는 개념상 완전히 다르다”고 밝혔다. 중복지역이 있을 수 있다는 기존의 예상을 깨고 지역구 의원 145명(불출마 선언 8명 포함) 중 최소 74명을 공천 탈락시킬 것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것만으로도 역대 교체율 40% 수준보다 많다.

전략공천 지역에 대해서도 그는 “상징적인 의미를 갖는 지역”이라고 말했다. 서울의 종로, 세종시처럼 선거의 성패와 주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역들, 상대후보의 면면에 따라서 주변 지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역 등이 우선적으로 전략지역이 될 것이라고 예시했다.

이 언급에 따르면 전략공천지역은 신청 후보가 단수일 가능성이 큰 약세지역, 반대로 강남3구나 영남권처럼 영입인사들이 주로 투입될 강세지역, 주변지역 판세에 영향을 미칠 지역으로 압축된다. 권 총장은 “강남3구라든지 영남권 상당부분이 전략지역이 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느냐”며 “서울 강남권을 포함한 강세지역도 최소한 50% 가까이는 변화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도덕성 검증 잣대에 대한 가이드라인도 보다 명확히 했다. 권 총장은 “(공천심사는) 사법절차가 아니기 때문에 어느 정도 혐의를 받고 있느냐, 개연성이 어느 정도 있느냐에 따라 혐의만 가지고도 배제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지난 16일 도덕성 검증 기준을 강화하면서 당규에 ‘부적격 사유’로 정한 11가지 항목 이외에 세금포탈·탈루·부동산투기·성희롱·강제추행 등으로 물의를 일으키거나 벌금형 이상을 선고받은 자, 성범죄·뇌물수수·불법정치자금 수수·경선부정행위 등 4대 범죄 관련자를 추가한 바 있다.

이같이 강도 높은 검증이 진행되면 공천탈락자 규모는 더 커질 공산이 크다. 최근에 발생한 전당대회 돈 봉투 사건으로 검찰에 소환되거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의 ‘명절 떡값’을 받은 친이명박계 의원들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될 경우 이들은 공천심사 대상에서조차 탈락하게 된다. 이러한 ‘초강력 기준’ 때문에 예비 후보자들 간에 사활을 건 상대 후보 뒷조사가 벌써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는 얘기가 당 주변에서 들린다.

한편 정홍원 위원장을 비롯한 11명의 공직자후보추천위원들은 2일 상견례에 이어 7일 첫 회의를 갖고 공천심사를 공식화할 예정이다. 공천위는 우선 후보 공모를 한 뒤 접수한 관련 서류를 근거로 1차로 솎아내고 경쟁력과 교체지수 등을 바탕으로 2차 걸러내기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권 총장은 “총선 한달전인 3월 11일 전까지는 (공천을) 마친다는 생각”이라며 “현역의원 하위 25% 공천 배제를 위한 여론조사는 2월 중순 이후에 실시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호 기자 j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