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1월 무역 적자 가볍게만 볼 일 아니다
입력 2012-02-01 18:19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무역이 새해 벽두부터 불안한 출발을 보였다. 1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1월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6% 감소한 415억3700만 달러인 반면 수입은 3.6% 증가한 434억9400만 달러를 기록해 무역수지가 19억5700만 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무역수지가 적자를 기록한 것은 2010년 1월 이후 24개월 만이다.
정부는 지난해 무역 규모 1조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연말 수출 물량을 크게 늘리는 바람에 1월 수출이 줄었고, 긴 설 연휴에 따른 조업단축, 고유가로 인한 원유 도입비용 증가 등이 적자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1월 통계만으로 상황을 비관할 필요는 없으며 2∼3월까지 묶어서 통계를 내봐야 무역 적자 요인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1월 무역수지 통계를 보면 2008년 40억 달러, 2009년 38억 달러, 2010년 8억 달러 적자를 기록하는 등 계절적 요인이 작용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안이하게만 보기 어려운 점도 있다. 일본 미국 아세안 중국 등으로의 수출이 증가했지만 재정위기가 장기화되고 있는 유럽연합(EU)에 대한 수출이 44.8% 감소한 것은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특히 이탈리아 국채 530억 유로에 대한 만기가 2월에 도래하는 등 주요 유럽 국가들의 국채 만기가 2∼3월에 몰려 있다. 국채 만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경우 무역으로 먹고사는 우리나라는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다.
유럽 재정위기로 인한 선진국의 금융 불안이 신흥국으로 전이되면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이다. 게다가 지난달 건설업계의 체감 경기가 17개월 만에 최악으로 조사되는 등 내수 시장도 흔들리고 있다.
정부는 나라 안팎의 불확실성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이란 석유수입 감축이 무역 적자의 복병으로 부각된 만큼 원유 도입선을 다각화해 단가를 낮추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총선과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대기업 때리기에 올인하는 정치권도 나라 경제를 살리는 길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