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나라당, 보수세력 연대 적극 추진하길

입력 2012-02-01 18:18

한나라당과 구(舊) 친박연대였던 미래희망연대가 오늘 합당한다. 한나라당이 박근혜 체제로 정비된데다 두 당이 2010년 각각 전당대회를 열어 합당을 의결한 바 있어 예견됐던 일이긴 하나 4·11 총선을 앞두고 전격적으로 이뤄져 주목된다. 특히 이를 계기로 보수·우파 세력의 연대 흐름이 계속 이어질 수도 있을 것이란 점에서 눈길을 끈다.

연대를 통해 각종 선거에서 재미를 본 야권은 올 총선과 대선에 대비해 통합작업을 착착 진행 중이다. 친노(親盧)세력을 포함한 진보·좌파 성향의 여러 야당들이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으로 이미 정리됐다. 두 야당은 석패율 제도 도입 등을 놓고 다소 이견을 보이고 있지만, 총선에서의 연대를 꾸준히 모색하고 있는 상태다. 당 외곽에 머물고 있는 시민단체 출신의 박원순 서울시장과 무소속 김두관 경남지사는 이달 중순쯤 민주당에 입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진보·좌파 움직임과 정반대로 보수·우파는 그동안 분열의 길을 걸었다.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이 주도하는 ‘국민생각’이라는 정당이 창당을 목전에 두고 있는 점은 대표적 사례다. 참신한 인물이 거의 없어 ‘국민생각’의 파괴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나, 벌써부터 한나라당을 겨냥해 독설을 퍼붓고 있어 보수진영의 우려를 사고 있다. 자유선진당도 비록 당세(黨勢)가 위축되고는 있지만 보수지킴이를 자처하고 있다.

한나라당 권영세 사무총장은 “건전한 보수와 나라를 걱정하는 세력을 생각해 질서정연한 연대를 추진할 용의가 있다”면서도 “현재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작업은 없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은 미래희망연대와의 합당을 계기로 보수진영을 한 데 묶는 일에 적극 나서는 게 옳다. 통합은 어렵더라도 야권처럼 선거 연대를 성공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연대를 위해선 특정한 계파나 인물을 배제하는 뺄셈의 정치는 금물이다. 한나라당 일각에서 제기된 MB 탈당론도 타당한 측면이 있지만, 연대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는 부적절하다. 힘을 합쳐야 할 마당에 내부 갈등만 부추길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