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CNK 관련 외교전문 집중분석… 이르면 주말 김은석 前 대사 소환

입력 2012-01-31 18:55

CNK 인터내셔널 주가조작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검사 윤희식)는 31일 전날 압수한 자료를 분석하는 데 주력하며 관련자 소환 조사에 대비했다.

특히 외교부 본부와 카메룬 주재 대사관이 주고받은 CNK 관련 외교전문을 집중 분석하고 있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르면 이번 주말 김은석 전 에너지자원대사를 소환해 카메룬 다이아몬드 개발권 획득 관련 보도자료를 공시 전에 작성, 배포한 경위 등을 추궁할 방침이다.

검찰 수사는 크게 카메룬 다이아몬드 매장량, 이를 이용한 사기적 부정거래,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부정거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외교부 보도자료에는 카메룬 다이아몬드 추정매장량이 4억2000만 캐럿이라고 돼 있으나 회사의 공시 내용에는 이 부분이 빠져 있다. 감사원 감사결과 이 같은 추정매장량은 허위로 밝혀졌다. CNK 주식투자로 손해를 본 투자자들이 외교부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대목이다.

검찰 관계자는 다이아몬드 매장량이 수사에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쟁점으로 부각되는 사안이어서 관련성이 있다”고 말했다.

검찰은 국무총리실 외교안보정책관을 지낸 김 전 대사가 2010년 12월 17일 부풀려진 다이아몬드 추정매장량이 포함된 보도자료 배포를 주도해 CNK 주가 폭등의 단초를 제공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당시 광물자원공사는 보도자료 배포에 반대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런데도 외교부가 보도자료 배포를 강행한 데는 어떤 의도가 있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검찰은 외교통상부의 보도자료 발표 이후 5만주 이상 대량으로 매도한 계좌 32개를 추적하고 있다. CNK 오덕균 대표와 고교 동창인 임모 총경은 2009년 2월 CNK 주식 10만주를 주당 635원에 사들였다가 외교부의 허위 보도자료 발효 직후 되팔아 5억원 이상의 차익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또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주식거래 계좌 46개와 CNK 신주인수권부사채(BW) 매매 계좌 59개도 정밀 분석하고 있다.

김재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