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등 독재국가서 활동 ‘디지털 민주화 운동가’ “美, 8000명 비밀리에 양성”
입력 2012-01-31 18:45
미국 정부가 이란 시리아 쿠바 등 독재국가들의 민주화를 위해 전 세계에서 ‘디지털 민주화 운동가’ 8000여명을 비밀리에 양성해온 것으로 밝혀졌다.
30일(현지시간) CNN 보도에 따르면 이들 디지털 운동가 네트워크는 대부분 그림자처럼 행동하며 미 국무부가 버락 오바마 행정부 출범 이후 지금까지 7000만 달러를 비정부기구(NGO)들에 투자해 개발한 온라인 우회 프로그램에 의해 훈련을 받고 있다.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지난해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지도자들에게 탄원하고 그들의 신념에 따라 예배할 수 있는 권리가 보편적인 것”이라며 “이는 사이버공간에서도 적용되며 교회에서처럼 온라인에서도 공통의 이익을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국무부는 전 세계에서 일률적으로 작동하는 단일한 프로그램보다는 20여개의 다양한 우회 프로그램을 개발토록 하고 있다. 여기에 각 독재국가들의 국민탄압의 수준과 서로 다른 온라인 정책과 전략 등을 연구하는 데도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우회 프로그램은 독재정권의 인터넷과 휴대전화 검열을 피해 해당 국민들 사이에 민주화 이슈를 퍼뜨리는 게 목적이라고 방송은 전했다. 해당 정부의 인터넷 방화벽을 우회하는 것에서부터 모니터링이 어려운 휴대전화 등에서 사용하는 모바일 기반의 기술까지 다양하다.
‘뉴 어메리칸 재단’의 사스차 메린라스도 현재 일부 국무부의 예산을 지원받아 워싱턴 DC에 비밀사무실을 차려놓고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메린라스팀의 코모션(Commotion) 프로젝트는 해당 정부들이 쉽게 모니터할 수 있는 중앙허브와 연결되지 않도록 휴대전화나 컴퓨터를 무선 네트워크화하는 것이다. 이들 기기는 각각 일종의 기지국(cell tower)처럼 작동하므로 이용자가 많아질수록 네트워크가 더 빨리 증식돼가는 메시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메시 네트워크는 네크워크 상의 각 노드(분기점)가 독립적인 라우터로 존재하고 서로 그물처럼 연결돼 있어 한 연결이 끊기더라도 다른 연결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같은 프로그램 운용에 대한 비판도 없지 않다. 하버드 대학의 롭 패리스 교수는 “미국이 외교적으로는 (이집트, 사우디 등) 독재국가들을 두둔하면서 한편으론 그들을 해코지하는 기술을 지원하는 것은 위선이라는 비판을 자초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한 국무부 관리는 “이 프로그램이 독재정권의 불안정화를 꾀하기보다는 표현의 자유와 인권 증진을 위한 것”이라고 강변했다.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