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사 연초부터 기싸움 팽팽… 노조, 2013년 2교대 앞두고 공장증설·충원 요구
입력 2012-01-31 18:43
강성 집행부가 들어선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연초부터 사측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울산공장 조합원 분신을 계기로 3년 만에 울산 엔진공장이 파업을 벌인 데 이어 내년부터 시행되는 주간 연속 2교대제와 관련해 공장 신설과 신규 인력 충원을 요구하고 나섰다. 휴일근무를 하지 않더라도 임금을 보장하는 문제를 둘러싸고도 사측과 맞서고 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사측이 (주간 2교대를 위해) 제시한 생산량 증가분(30만대 분량)을 감당할 수 있도록 30만대 생산설비를 증설하고 총 3500명 이상의 대규모 신규 인력을 충원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회사 측은 “이미 노사가 근무형태변경추진위원회를 통해 현 생산체제 및 인력 구조하에 (주간 연속 2교대제를) 도입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했다”며 노조의 공장 증설이나 신규 인원 채용 요구는 노사간 합의를 전면 부정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또 노조가 신규 공장 증설의 필요성으로 예로 든 ‘2008년 161만대 생산실적’은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 당시 판매시장 상황이 매우 열악해 불가피하게 생산조정에 돌입했던 특수한 경우로 현 상황과 맞지 않는다는 게 회사 측 주장이다. 오히려 지난해 국내 공장에서 190여만대를 생산했는데 4만대를 늘리기 위해 30만대 규모의 공장을 지으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최근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하는 등 장시간 노동을 없애려는 정부 방침과 관련, “원칙적으로 찬성한다”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근로기준법 개정을 하지 말고 행정해석을 통해 즉각 시행할 것을 요구했다. 현대차의 경우 그동안 휴일 특근, 잔업 등으로 생산물량을 맞춰왔기 때문에 휴일근무를 연장근로시간에 포함할 경우 사실상 휴일근무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임금은 그대로 받으면서 휴일근무는 하지 않겠다는 게 노조 측 얘기다.
노조는 이와 함께 “올해 안에 모든 사내하청(비정규직) 노동자를 정규직화하자”며 정몽구 회장에게 2월 10일 노사대표 회동을 갖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회사 측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요구는 단순히 고용유연성 확보에 대한 정규직 노조의 이해와 양보가 선행돼야 가능하다”고 반박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 노조의 주장은 현재의 임금을 유지한 채 근로강도는 더 낮추고 근로시간은 줄이겠다는 얘기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명희 기자 mhee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