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자루 쥔 與 주류… MB정권 인사 ‘총선 살생’ 본격화
입력 2012-01-30 19:08
한나라당 주류가 ‘총선 살생(殺生)’ 작업에 본격 착수한 분위기다. 비상대책위원에도 모자라 공천 실무책임자인 당 사무총장까지 나서 이명박 정권 핵심 인사들에 대한 솎아내기에 들어간 모습이다. 이에 비례해 친이명박계의 반발 기류도 커지고 있지만, 칼자루를 쥔 이상 머뭇거리지 않겠다는 태도다.
권영세 사무총장은 30일 YTN라디오에 출연해 MB정권 실세 용퇴론과 관련, “최종적으로 공천심사과정에서 국민의 뜻에 따라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공천을 통과했다 해도 선거과정을 통해 국민에 의해 심판이 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출마해 떨어질 수밖에 없는 용퇴 대상자들에게는 아예 처음부터 공천장을 주지 않겠다는 얘기다.
그는 “(대상자들이) 공천과정이나, 선거과정에서 걸러지지 않겠나”라고도 했다. 전날 용퇴론을 다시 제기한 김세연 의원에 대해서도 권 총장은 “원론적으로 당연한 말”이라고 공감을 표시했다.
비대위원들은 한 발 더 나갔다. 이상돈 위원은 기자들과 만나 구체적인 낙천 대상과 범위를 거론했다. 그는 서울 중구 출마의사를 밝힌 나경원 전 의원을 향해 “오세훈 서울시장이 다시 선거에 나오는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 위원은 “용퇴 대상에 지난해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관여했던 인물들도 포함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당시 나 전 의원이 후보로 출마했고 최구식 신지호 강승규 안형환 의원 등이 당과 선거 캠프에 참여했다.
이 위원은 “한나라당이 어렵게 된 이유는 현 정권에 관여했던 인물들의 전횡을 포함해서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열린 자체도 해당된다”며 “한나라당 의원들의 지역구에서 다 하고 있는 무상급식 문제를 오판해 당을 어렵게 만들었으니 거기에 관련된 사람들도 당연히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종인 위원도 MBC라디오에 나와 “당을 이 상황으로 이끌어온 데 결정적 영향력을 행사한 분들은 책임질 각오를 하는 게 가장 온당하다”고 거들었다.
특히 “국민이 생각할 때 (의석이) 166석이나 되는 정당이 이런 상황까지 도래한 것은 굉장히 한심한 일”이라며 “(책임을 져야 하는) 본인들이 얘기를 안 하니 다른 사람들이 (용퇴를) 얘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상에 전직 당 대표가 모두 포함되느냐고 묻자 ”당 대표를 했다고 책임지라는 것은 아니다“고 답했다.
김 위원 자신의 사퇴설과 관련해 “다시 한 번 노력을 해보는 방향으로 가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민수 기자 ms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