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뉴타운 ‘퇴출’] 건설사 “일감축소 타격”… 부동산 시장도 술렁

입력 2012-01-30 18:58

박원순 서울시장이 30일 서울지역 재정비 대상 지역의 절반가량을 원점에서 재검토키로 함에 따라 건설업계와 부동산 시장이 술렁이고 있다. 건설업체들은 일감이 줄어들거나 사업이 지연되면서 더욱 힘들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세입자 등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려는 취지는 공감하지만 사업이 취소될 경우 빚어질 혼란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건설사들은 가뜩이나 어려운 서울지역 주택분양시장을 더욱 침체시키는 악재가 될 것이라고 토로했다. 그동안 수도권 부동산시장 침체 속에서 그나마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이 건설사들을 먹여살리는 분야였기 때문이다. 서울지역 재개발·재건축은 조합원에게 배정된 물량이 많고, 일반 분양도 가격만 조금 낮추면 쉽게 소진되는 흐름을 보였다.

그러나 박 시장의 ‘뉴타운 정비사업 신정책구상’이 정비사업 축소를 바탕에 깔고 있어 물량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정비사업 가운데 옥석을 가리는 기간이 길어지면서 사업이 지연되고 수익성도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시내 재개발·재건축 시장에 적잖이 의존했던 대형건설사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대형건설사 몇 곳은 매년 조 단위의 일감을 재개발·재건축에서 얻었는데, 정비사업에서 일감이 줄어들면 건설사들 간에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면서 수익성도 나빠질 것”이라고 말했다.

오랫동안 추진위원회조차 구성되지 못한 사업장은 비용 처리만 된다면 해제를 환영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서울시에 따르면 종로구 창신·숭인재정비촉진구역 등 5곳이 연내 해제가 유력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창신·숭인뉴타운 지역 주민은 “오랜 기간 추진위가 구성되지 않아 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의지가 떨어지는 상황”이라며 “비용처리에 대한 해결책이 마련된다면 해제에 찬성하는 주민들도 적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상당수 구역은 사업추진이냐 중단이냐를 놓고 주민들 간에 적잖은 진통이 예상된다. 반면 이미 사업시행인가를 받은 사업장은 불확실성 해소와 희소성 때문에 오히려 호재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노석철 기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