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시간근로 개선했더니 생산성 크게 높아졌다”… 고용부 산하 노사발전재단 ‘성과 사례집’

입력 2012-01-29 22:12


장시간근로가 사라지면 근로자들의 근로 만족도가 높아지고 기업의 생산성이 올라간다. 또 기존 인력의 이탈 방지 효과와 더불어 일자리 나누기의 여지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고용노동부 산하 노사발전재단이 근로시간 줄이기 컨설팅 성과를 모은 사례집 ‘근로시간 다이어트, 내일 희망 일터’에 따르면 ㈜한스인테크는 2조2교대제를 3조2교대제로 바꿔서 주 66시간의 근로시간을 51.3시간으로 줄였다.

기저귀용 통기성 필름을 만드는 이 회사 근로자들은 당초 근로시간 감소로 소득이 20% 줄어들 것을 염려했으나 사측이 10% 임금을 보전하기로 함에 따라 3조2교대를 수용했다. 이로써 신규 고용도 8명 늘었다. 근로시간이 줄어들면서 근로자들은 여유시간을 가정과의 소통과 자기개발에 투자할 수 있게 됐다. 설비가동률은 85.7%에서 100%로 늘었고 1인당 연 182시간의 교육시간이 확보돼 생산성의 추가 향상도 기대된다. 노사가 윈·윈한 셈이다.

자동차용 미러를 생산하는 ㈜에스엘 미러텍은 2조2교대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보상휴가제, 시차출근제 등을 도입해 근로시간을 주 53.75시간에서 51.66시간으로 줄였다. 이로써 출하 대응능력이 크게 향상됐고 이 과정에서 20명이 새로 충원됐다.

GIS분야의 지식기반서비스업체인 ㈜지오투정보기술은 하루 중 특정 근무시간대를 정해 직무 몰입도를 높이는 집중근무시간제를 들여와 문제를 풀었다. 특히 습관적인 야근문화를 개선함으로써 근무시간을 주 52시간 미만으로 낮췄고 신규인력도 5명 늘렸다.

전자제품 케이스를 만드는 ㈜리엔캄파니는 기존 2조2교대제에 조별로 여유인력 1명, 총 8명을 충원하는 릴리프 제도를 도입해 근로시간을 줄였다. 그 결과 여유인력 도입으로 휴식시간이 늘면서 생산성은 오르고 불량률은 크게 줄어들었다.

인쇄회로기판을 납품하는 ㈜정민전자는 납품물량이 변동이 커서 계절별로 근로시간 격차가 큰 게 문제였는데 근로시간저축휴가제를 도입해 연평균 근로시간을 법정근로시간 이내로 조율했다. 신규 일자리 창출은 없었으나 이직을 막고 기존 고용인력을 유지함으로써 작업숙련도를 높였다.

주류회사인 ㈜선양은 노사가 근로시간 산정기준을 새로 마련해 근무시간을 최소화했다. 일자리 창출은 없었으나 자율근무제에 따른 생산성 향상효과를 봤다. 김포도시공사는 직무공유제를 통해 특정부문의 업무과중 문제를 해소함으로써 근무시간을 줄였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제일 많이 일하지만 노동생산성은 가장 낮다(그래프 참조). 사례에서도 근로시간 줄이기의 핵심은 생산성 향상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정부가 장시간근로 관행을 바꿔 일자리 나누기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근로시간 줄이기=일자리 나누기’로만 보기는 어렵다. 사례집에서도 장시간근로로 인한 문제점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 저하’ ‘생산성 저하 및 창의성 결여’ ‘산업재해 증가’ 등을 앞세운 데 이어 ‘일자리 나누기 기반 약화’를 꼽았다.

조용래 기자 choy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