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가 배신했다”… 검열제도 도입 방침에 인권운동가들 “사용안해” 반발

입력 2012-01-29 19:02

‘아랍의 봄’ 혁명 당시 의사소통 수단으로 위세를 떨쳤던 트위터가 검열 제도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하자 전 세계적으로 역풍이 만만찮다.

트위터는 지난 26일(현지시간) 자사 블로그를 통해 특정 국가에서 트윗을 차단하라는 요구를 받을 경우 해당국에 한해서 트윗을 차단하고 이를 작성자에게 분명히 고지하겠다고 밝혔다(본보 28일자 10면 보도).

파이낸셜타임스(FT)는 28일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전 세계 인권운동가, 민주화운동가들이 강하게 항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의 반체제 예술가 아이웨이웨이(艾未未)는 “만약 트위터가 검열을 한다면, 나도 트위터를 하지 않겠다”고 항의했다. 이집트의 인권 운동가인 마흐무드 살렘은 “트위터가 우리(이용자)를 배신했다고 말하는 게 맞다”면서 “매우 나쁜 소식”이라고 유감의 뜻을 표했다.

국제 언론감시단체인 ‘국경 없는 기자회(RSF)’는 트위터의 공동창업자인 잭 도시에게 항의 서한까지 보냈다. RSF는 “트위터가 억압받는 나라의 사이버 반체제 인사들에게 매우 중요한 도구를 박탈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AP통신은 지난해부터 민주화바람이 불고 있는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트위터 검열(TwitterBlackout)’이라는 해시태그(hashtag·트위터에서 특정 키워드 공유 암호)를 이용한 트위터 거부 조짐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트위터 측은 “우리의 철학은 변하지 않았다”면서 새로 도입된 제도가 “표현의 자유, 투명성, 책임감을 증진시키는 데 좋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동안 트위터는 문제가 되는 트윗을 아예 삭제해왔기 때문에 전 세계 모든 사용자들이 해당 트윗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새로 도입되는 ‘국가별 트윗 삭제’ 방식은 특정 국가가 역사, 문화적인 이유로 트윗 삭제를 요청할 경우 해당국에 한해서만 트윗을 차단해 나머지 지역에서는 해당 트윗을 볼 수 있도록 했다.

이동훈 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