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악화일로 시리아 유혈사태 방관 말아야

입력 2012-01-29 18:57

반독재를 외치는 시리아 반정부 시위대에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이 초강경진압으로 대응함에 따라 유혈사태가 악화일로다. 외신에 따르면 최근 3일간 적어도 200명이 사망했다. 반정부 시위의 거점인 북부 홈스에서만 26일 하루 동안 약 30명이 살해됐으며 그 중 10명은 2∼6세 어린이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리아 정부군은 탱크, 대포 등 중화기까지 동원해 민간인 시위대를 학살하는가 하면 고문 등 반인도적 범죄를 자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유엔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시위가 시작된 이래 540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특히 유엔아동기금은 희생자 중에는 최소한 384명의 어린이가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사정이 이런데도 국제사회는 미적대면서 거의 방관에 가까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석유 이권이 걸려있던 리비아 사태 때 미국 등 서구 각국이 적극 개입했던 것과는 딴판이다.

그나마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유럽 및 아랍권 국가들이 제출한 결의안을 놓고 논의를 시작했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반대로 지진부진한 상태다. 결의안은 아사드 대통령의 권력 이양 및 대 시리아 제재 동참 요청을 담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는 “무기 금수를 비롯해 어떤 형태의 제재도 수용할 수 없다”며 “시리아인들 스스로 정치적 대화로 모든 폭력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결의안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도 국제사회 개입에 부정적이다.

러시아가 시리아 내부의 대화를 강조하지만 진정한 반대 이유가 아사드 정권과 맺은 무기수출 때문임은 불문가지다. 실제로 러시아는 시위대 공격용으로 사용될 우려가 있는 훈련용 전투기 야크-130 36대를 계약대로 시리아에 공급키로 했다고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가 보도했다. 돈을 벌기 위해 무고한 민간인들이 마구 죽어나가는 유혈사태를 그냥 놔두자는 게 말이 되는가. 보편적 인권은 국가 주권에 우선한다고 할 때 국제사회는 러시아나 중국의 반대와 무관하게 시리아의 유혈사태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결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