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시중 전격 사퇴] 최시중-양아들 ‘연결고리’ 캔다… 檢, 측근비리 수사에 속도
입력 2012-01-27 23:12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27일 부하직원의 금품비리 연루에 책임을 지겠다며 사퇴함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검찰 수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 위원장이 익명으로 언급한 부하직원은 지난해 10월 돌연 사표를 내고 현재 말레이시아에 머물고 있는 정용욱(50) 전 정책보좌역으로 보인다.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3부(부장검사 윤희식)는 최근 3~4년간 한국방송예술교육진흥원(한예진)과 부설 한국방송아카데미를 운영하며 교비 240억원을 빼돌리고 법인세 53억원을 탈루한 혐의로 김학인(49) 한예진 이사장을 지난 20일 구속기소했다.
검찰은 그동안 이 사건의 성격을 단순한 개인 비리라고 선을 그었지만, 김 이사장이 교육방송(EBS) 이사 선임 로비를 위해 최 위원장의 양아들로 불리며 방통위 실세로 통하던 정 전 보좌역에게 2억원을 건넸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정권실세 비리의혹으로 비화됐다.
검찰은 김 이사장의 횡령·탈세 의혹을 수사하던 중 최 위원장 측근인 정 전 보좌역의 금품수수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예진 압수수색 과정에서 김 이사장의 로비 정황을 뒷받침할 만한 핵심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이 확보한 자료에는 정치권은 물론 한예진 업무와 연관이 많은 교육과학기술부 및 방통위 공무원에게 금품을 제공한 내역이 기재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이와 관련, “계좌 추적할 게 많아서 인력을 보강해야 할 것 같다”고 말해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을 내비쳤다.
검찰은 김 이사장이 정 전 보좌역을 통해 최 위원장에게 금품을 제공했거나 정·관계 로비를 벌였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에 대비해왔다. 최 위원장의 사퇴로 검찰 수사는 탄력을 받게 됐다. 최 위원장이 민간인 신분이 됐기 때문에 금품수수 증거가 확보되면 언제든지 소환 조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검찰이 이미 최 위원장에게 금품이 전달된 정황을 포착했고, 이를 보고받은 청와대가 최 위원장의 사표를 받아들인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사건의 열쇠를 쥔 정 전 보좌역이 귀국해야 수사는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가 귀국하게 되면 ‘판도라의 상자’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정 전 보좌역은 최근 지인을 통해 조만간 귀국해 검찰의 조사를 받겠다는 뜻을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그러나 “정씨로부터 검찰에 출석하겠다는 연락을 아직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