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준 “보도자료 작성 관여안해” 다이아 게이트 감사결과 부인
입력 2012-01-27 18:51
정치권 등으로부터 CNK 주가조작 의혹 사건의 핵심 인물로 지목받고 있는 박영준 전 총리실 국무차장은 27일 감사원 감사결과에 강력 반발했다. 박 전 차장은 “외교통상부 보도자료 작성에 관여한 바 없다”며 “감사원의 주장은 황당하기 그지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감사원은 26일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매장량에 관한 외교부의 보도자료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외교부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가 박 전 차장과 일부 협의한 정황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박 전 차장은 언론과의 접촉에서 “1차 보도자료를 내는 날 아침 (김 대사가) 그쪽(카메룬)에서 대통령 사인이 났다고 대사관에서 연락이 왔다는 이야기를 전화로 해줘서 ‘잘됐네’하고 끊었고 그것이 전부”라고 해명했다.
그는 “당시 에너지 담당 차관으로 김 대사와 업무적으로 통화를 많이 할 수밖에 없었다”며 “하지만 그것이 보도자료 작성과 무슨 상관이 있냐”고 반박했다. 박 전 차장은 지난달 24일 감사원에 출석, 8시간가량 조사에 응했으며 카메룬 방문 당시 상황 등을 설명했다고 말했다.
한편 감사원 감사발표에 대해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무소속 정태근 의원이 외교부 장·차관이 이번 사건의 진실규명을 은폐, 지연시켰다는 주장을 한 것에 대해서는 강한 불쾌감을 나타냈다. 김 장관은 “은폐하려는 사람이 감사원에 감사 청구를 하겠냐”며 외교부 전체를 비도덕적인 조직으로 폄하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내부에도 사건의 발단이 된 보도자료가 외교부를 통해서 나간 점에는 책임을 느끼지만, 소수 직원의 개인적 비위사건으로 장관까지 교체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목소리가 많다. 딸 특채 파동으로 전임 유명환 장관이 불명예 퇴진을 한 상황에서 또다시 장관이 물러나게 되면 외교부 위상에 치명상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한 듯하다.
외교부는 이날 김 대사를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하고 보직해임했다. 또 CNK 주식에 투자한 김 대사 비서도 중앙징계위원회에 회부했고 다른 직원도 인사 조치키로 했다.
최현수 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