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교조, 학교폭력 못본 척할 건가
입력 2012-01-27 18:16
우리 사회가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인 학교폭력에 대해 대표적인 진보적 교원단체인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 제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 곽노현 서울시 교육감의 벌금형 선고 석방과 교원의 정치후원금 허용 등 정치적 사안에 즉각적인 반응을 보인 것과 대비된다.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청와대에서 마련한 ‘학교폭력 대책 마련을 위한 교직단체·학부모 대표 초청 간담회’에 뚜렷한 이유 없이 불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틈만 나면 경쟁교육, 입시교육의 폐해를 지적하며 이른바 ‘참교육’을 외치는 전교조가 우리 아이들의 고통을 애써 외면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 당초 전교조는 학교폭력으로 절망하는 아이들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어떤 논의에도 참여한다는 방침에 따라 청와대 초청에 응하기로 했었다. 그러다 경찰이 18일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한 전교조 간부 자택을 압수수색하자 간담회 전날 불참을 결정했다.
법원의 영장을 발부받아 집행하는 수사당국의 합법적 압수수색을 탄압이라고 주장하는 근거가 어디 있는지 모르겠다. 현직 판사가 대통령을 ‘가카 짬뽕’ 운운하며 희화화하는 이 시대를 과거 권위주의 정부와 비교한다는 것이 말이나 되는가. 설령 압수수색이 전교조 탄압이라고 해도 그 문제는 법대로 풀면 될 일이지 간담회 불참 이유가 되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연말 대구에서 발생한 중학생 자살사건의 가해자에 대한 첫 공판이 2월 1일 열린다. 그동안 경찰은 전 수사력을 가동해 아이들의 안전을 위한 발판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학부모, 청소년보호 단체는 물론 종교계, 언론계 등 우리 사회 모든 구성원이 이 문제 해결에 관심을 가질 동안 당사자격인 전교조의 제대로 된 목소리는 들을 수 없어 유감스럽다.
전교조는 처벌강화 위주의 대책을 반대한다는 주장만 되풀이 할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대안을 내기 바란다. 학교폭력 문제는 전교조가 추구하는 이념교육 문제도 아니며 교원의 정치참여 문제는 더욱 아니다. 나라의 희망인 우리 아이들이 학교폭력으로 말 못할 고통을 겪으며 좌절하는 목소리가 정녕 들리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