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제 민주주의’ 기업들이 먼저 실천하라

입력 2012-01-27 18:11

대기업들이 무분별한 확장이란 비판을 받던 사업에서 속속 철수하고 있다. 호텔신라가 커피·베이커리 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했고, 범LG가의 식품기업 아워홈도 순대와 청국장 사업에서 물러나기로 했다. 현대자동차는 김밥 등을 팔던 사내 매점 성격의 카페 ‘오젠’이 오해받을 소지가 있다며 간판을 내리기로 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25일 재벌 2·3세의 ‘빵 장사’ 행태를 강도 높게 비판한 이후 내려진 조치들이다.

일각에서는 국정최고운영자가 직접 나서서 대기업 일부 행태를 비판한 게 지나쳤다는 시각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과 자영업자들의 영역까지 사업을 확장하고 문어발식으로 계열사를 늘려나가는 대기업에 대한 비판이 나온 지는 오래 됐다. 대기업이 주력업종의 경쟁력을 키워 해외 시장에서 당당히 경쟁하고 새 성장동력을 발굴하지 않은 채, 당장 돈벌기 편한 내수 시장을 곁눈질하는 데 대한 비난이 일회적인 것도 아니다.

이병철 정주영 등 재벌 1세대들은 치열한 기업가 정신으로 산업의 기반을 다졌고, 이건희 정몽구 등 2세대는 발 빠른 글로벌 경영전략으로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을 세계 일류로 성장시켜 국민경제에 기여했다. 최근 제기되는 재벌기업의 탐욕에 대한 비판은 자초한 측면이 강하다. 후대들도 불굴의 기업가 정신을 계승해 세계시장을 무대로 성공신화를 쓰고 이를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

대기업들은 이 사회에서 막대한 이익을 챙기고 있지만 동시에 사회적 책임도 져야 한다. 기업이 ‘더불어 사는 사회’에 대한 의식을 갖고 실천하지 않으면 사회 전체의 안정성이 저하된다. 최근 월가 시위에서 보듯 기업의 윤리 회복이나 사회적 책임 문제는 새로운 자본주의의 업그레이드 방향이기도 하다. 여야는 차기 총선과 대선에서 기업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경제 민주주의’를 주요 이슈로 삼을 계획이다. 기업들이 정치권에 등 떠밀리지 말고 선제적으로 혁신에 나서주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