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 게이트’ 감사 발표] 檢 칼끝 ‘공직자 비리 커넥션’ 정조준… 수사 급물살
입력 2012-01-26 21:48
검찰이 26일 CNK인터내셔널 본사 등을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수사가 본격화되고 있다.
이번 압수수색은 지난 18일 금융위원회 고발 이후 고발인 조사 등을 통해 물밑 작업을 해온 검찰이 강제수사로 전환하는 신호탄이다. 본격적인 소환 조사를 위한 사전 정지작업이 끝났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주요 관계자 혐의 입증에 필요한 물증을 확보해 소환 조사에 대비하려는 포석도 있다.
검찰 수사는 다이아몬드 매장량의 허위·과장 자료를 통한 CNK 주가조작과 공직자들이 직무상 정보를 이용해 본인과 친·인척 명의로 CNK 주식을 사들여 막대한 차익을 남긴 ‘무너진 공직기강’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CNK 주가조작은 금융위의 고발자료가 기초가 되고, 공직기강은 감사원 수사요청 자료가 바탕이 될 전망이다.
검찰에 따르면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은 2010년 7월 오덕균 CNK 대표를 통해 외교통상부에 허위·과장 자료를 제공했고, 외교부는 김은석 에너지자원대사 주도로 보도자료를 작성, 같은 해 12월에 발표했다. 이로 인해 보도자료 발표 전 3000원대였던 CNK 주가는 1만6000원대까지 치솟았다.
오씨는 2009년 8월 현지 발파탐사에서 추정매장량이 당초 예상의 6%인 2500만 캐럿에 불과하다고 결론을 도출했으면서도 과장된 자료를 외교부에 그대로 넘긴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수사에서는 매장량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겠지만 종합적인 판단을 해야 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CNK 주식을 매입한 공직자는 대부분 CNK가 카메룬 다이아몬드 광산 개발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현지 출장을 다녀왔던 정부기관 소속이다. 2010년 정부의 카메룬 자원외교 출장은 총리실의 당시 ‘박영준 국무차장, 김은석 외교안보정책관’ 라인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전 차장의 아프리카 순방에는 총리실에서 김 정책관을 비롯해 이모 개발협력정책관, 김모 자원협력과장 등 4명, 지식경제부에서는 박모 자원개발총괄과장 등 2명, 국토해양부 김모 해외건설과장 등 2명, 외교부에서는 아프리카과 서기관 등이 각각 정부 대표단에 참여했다. 따라서 이들이 검찰의 1차 수사선상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또한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시세차익과 관련, 공직자 본인이 직접 주식 투자로 차익을 올렸다면 혐의 입증이 어렵지 않겠지만, 친·인척이나 지인에게 정보를 알려줘 투자하게 했다면 직접적인 관련성을 증명해야 하기 때문에 수사가 난관에 부딪힐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