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당명 변경 계기로 쇄신에 박차 가해야
입력 2012-01-26 18:16
민주통합당으로 변신한 민주당에 이어 한나라당도 15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어제 국민공모를 통해 당명을 바꾸기로 결정한 것이다. 새로운 당명은 내달 3일 새 로고와 함께 공식 발표된다.
현재의 한나라당 이미지로는 올 총선과 대선 때 유권자들에게 표를 달라고 하기가 어렵다는 게 당명 변경의 주요인이다. 가뜩이나 ‘딴나라당’이라고 조롱을 받고 있는데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디도스 공격 파문에 이어 전당대회 돈봉투 사태까지 터지자 한나라당이라는 간판을 고집할 수 없게 된 것이다. 지난 연말 한나라당 의원들이 의정보고서를 제작하면서 ‘한나라당’과 로고, 심지어 당을 상징하는 파란색까지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비일비재했다는 점은 한나라당에 대한 민심이 얼마나 싸늘한지를 짐작케 한다. 사정이 이러하니 한나라당의 간판 교체는 예견됐던 일이라 하겠다.
하지만 유권자의 눈은 밝다. 당명을 바꾼다고 유권자의 마음이 돌아오지 않는다. 오히려 ‘호박에 줄긋는다고 수박 되나’라는 비판을 받을 수도 있다. 새 당명이 유권자들의 호응을 받으려면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는 재창당 수준의 쇄신작업을 철저하게 추진해야 한다. 그래야 민심도 얻을 수 있다.
지금까지의 쇄신작업을 평가하자면 국민에게 감동을 주기엔 역부족이다. 구각(舊殼)을 벗어던지려 발버둥치고 있다는 것은 알겠지만, 쇄신의 결과물은 미흡하다. 이런 와중에 일부 비대위원이 도를 넘은 발언으로 분란을 일으키고, 계파 싸움이 재연되고, 일부 의원은 알량한 기득권을 지키려 내분을 조장하는 등 실망스러운 행태마저 나타났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국민과 동떨어진 쇄신은 안 되며, 국민의 삶과 유리된 정치를 피부에 와 닿는 정치로 바꾸는 것이 쇄신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옳은 말이다. 그러나 실천은 쉽지 않다. 국민이 힘들어하는 것들을 파악해 하나하나 풀어주는 쇄신이 성공하려면 한나라당 구성원 모두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개혁의 주체로서 힘을 보태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한나라당 미래는 암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