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한 여성 우대정책 ‘역차별’ 논란… 공무원 비중·간부 숫자로는 보호도 필요하지만 ‘특혜’ 곤란
입력 2012-01-25 19:10
지방자치단체들이 여성 공무원 우대책을 잇달아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선 남성 공무원들에 대한 ‘역차별’ 문제 제기도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경북도는 올해 준 국장급(4급 고참)인 ‘여성정책관’을 신설하는 등 여성 공무원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5일 밝혔다.
도는 여성인재 육성과 남녀평등의 공직문화를 만들기 위해 인사, 후생복지, 교육, 평정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한 ‘여성공무원 파워업’(Power-Up) 계획을 수립해 추진키로 했다.
정무부지사를 여성공무원 경쟁력 강화프로그램을 위한 단장으로 하고, 3월 중 준 국장급 여성정책관을 신설해 여성 관련 일자리, 양성평등, 보육 및 아동 등 정책에 중점을 둘 계획이다. 또 여성 MVP 공무원 선발, 임용 목표제 및 발탁 승진, 중앙부처 교류 등을 통해 여성 공무원의 보직, 평정, 승진 등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배려하기로 했다.
도는 기능직 공무원의 일반직 전환 시험 합격자 특별교육, 기능직공무원 직무능력 배양 교육 등을 통해 기능직 여성공무원들의 경쟁력 강화에도 힘을 쏟을 방침이다.
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경북도 여성공무원 수는 479명으로 전체 도 공무원 2162명의 22.2%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5급 이상 간부 여성공무원은 18명으로 도 전체 간부공무원 512명의 3.5%에 불과하다.
전남도 역시 여성 공무원이 승진 대상자의 2배수 안에 들어올 경우 우선적으로 승진시키는 여성 공무원 우대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여성들이 최장 6개월의 출산휴가를 갈 경우 그 동안 대체인력을 기간제로 채용했으나 계약직 공무원으로 충원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 같은 여성 우대정책을 놓고 일부에서는 ‘역차별’이라며 반발하는 분위기다. 경북도 공무원노조 관계자는 “초저출산시대를 앞두고 여성공무원의 근무환경 개선과 주요부서 근무 등 적절한 여성우대 또는 발탁정책은 필요하지만 특혜는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대구·광주=김재산 이상일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