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공심위원 외부인사 3분의 2로 구성될 듯… 비대위 전체회의 상정
입력 2012-01-25 21:54
한나라당 공천심사위원회의 틀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또 총선에 나설 영입 대상과 전략공천 지역도 구체적으로 거론되는 모습이다.
◇외부 공심위원 3분의 2로 구성=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치쇄신분과위원회는 25일 오후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공심위에 당내 인사 비율을 3분의 1 이내로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비대위원인 김세연 의원이 밝혔다. 이 안은 26일 비대위 전체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다.
박근혜 위원장이 당 대표를 맡아 선거를 이끈 2004년 17대 총선에선 공심위원이 모두 15명이었고, 이 가운데 당시 의원이던 김문수 공심위원장을 제외하면 당 내외 인사는 각각 7명이었다. 따라서 외부인사가 3분의 2를 차지하는 이번 공심위 구성안은 일단 획기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정치쇄신분과위는 또 공고 출신을 포함한 이공계 출신 정치 신인에게 경선 때 최대 20%까지 가산점을 부여하기로 했다.
이상돈 정치쇄신분과위원장은 공심위원장 인선과 관련, “(언론 등에) 거론되는 사람 중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이 가장 적합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내에는 그가 1997년 대선 때부터 선거기획자로 관여했던 ‘낡은 인물’이라며 반대하는 목소리도 만만치 않다.
◇“비례대표 ‘회장클럽’ 안 된다”=인재영입분과위원장을 맡고 있는 조동성 비대위원은 서울 목동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와 가락동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에서 잇따라 워크숍을 열어 “그동안 비례대표에 명망가나 회장이 많다 보니 ‘회장 클럽’이 됐다. 너무 회장 일변도로 도배해서는 더 이상 안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각계를 대표한다며 각종 직능단체나 협회 회장들을 대거 비례대표로 공천하는 관행을 정면 비판한 것이다.
그는 “한나라당이 그동안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사람보다 선망만 받는 사람을 뽑아왔다”고 강조했다. 이어 “저는 290명 정도 추천하고 싶다. 다음 달 초까지는 (영입 인재) 명단을 갖고 있어야 한다”며 2월 초 비대위에 명단을 제출할 의향을 내비쳤다.
◇전략공천 지역도 윤곽=전국 245곳 중 20%인 49곳이 전략공천 대상지다. 수도권에서는 ‘정치1번지’로 통하는 서울 종로가 전략공천 대상 1순위로 꼽힌다. 종로는 3선인 박진 의원이 일찌감치 불출마를 선언한 데다 민주통합당 정세균 상임고문이 출마를 선언한 만큼 이에 대적할 만한 거물급 인사를 내보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나라당의 ‘텃밭’인 서울 강남·서초·송파를 비롯한 수도권 지역 10여곳과 여야 협상에 의해 독립 선거구가 유력시되는 세종시가 전략공천 대상지역로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 민주통합당 문성근 최고위원과 문재인 상임고문, 김정길 전 행정자치부 장관 등 이른바 ‘문성길 트리오’가 나서면서 야당 바람이 불고 있는 낙동강벨트(부산 북·강서, 사하, 사상)가 한나라당의 수성 차원에서 전략공천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이용웅 기자 yw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