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내 경선에 ‘모바일 투표’ 도입 합의… 여야, 정개특위서 ‘조직·금권 차단’ 의견 모아
입력 2012-01-25 22:02
여야가 당내 경선에서 모바일 투표 방식의 오픈 프라이머리(국민참여경선)를 도입하기로 합의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여야 간사인 한나라당 주성영, 민주통합당 박기춘 의원은 25일 국회에서 비공개 회동을 갖고 전당대회 등에서의 조직·금권 동원선거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주 의원은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큰 틀에서 휴대전화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투표로 가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고 박 의원도 “모바일 투표 도입에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혔다.
모바일 투표는 국회의원 후보자와 당 대표 등을 선출하는 당내 경선 과정에서 유권자들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지지 후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다.
민주당은 여야 합의에 따라 26일 오전 구체적인 모바일 투표 방안을 담은 ‘공직선거법 개정안’을 정개특위에 제출하기로 했다.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개정안을 놓고 내부 입장을 정리한 뒤 다시 협상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양당은 도입 시기에서 이견을 보이고 있어 최종 합의안 도출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한나라당은 이번 총선 공천을 개방형 국민참여경선 80%, 전략공천 20%로 한다는 공천 기준안을 마련했다는 이유로 모바일 투표의 19대 총선 도입에 반대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1·15 전당대회에서 모바일 투표를 실시해 흥행에 성공한 만큼 “당장 도입하자”는 입장이다.
정개특위는 26일 공직선거법 소위원회를 열어 석패율제(지역구 결합 비례대표제)와 선거구 획정 등 핵심 현안을 논의하고 27일 정치자금법 소위원회, 30일 다시 공직선거법 소위원회를 개최한 뒤 31일 전체회의에서 공직선거법 최종 개정안을 의결할 계획이다.
한편 정개특위는 전당대회에서 중앙당이 관광버스 비용이나 식비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국민 여론이 좋지 않다는 점을 들어 보류하기로 했다.
앞서 한명숙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돈 봉투 사건을 비롯한 여러 문제에 국민이 실망하고 있는데 이런 것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 것이 바로 모바일 투표”라며 이번 총선에서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자고 거듭 촉구했다.
한 대표는 이어 중앙당을 전국위원회 체제로 바꾸겠다는 한나라당 움직임을 거론하며 “이런 것을 가지고 금권 동원정치를 막을 수 있겠느냐. 모바일 투표를 도입하면 정치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는데도 (한나라당이) 번지수가 다르게 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성기철 기자 kcsung@kmib.co.kr